Loading...
글자크기조절

콘텐츠

선택

선택

    의병자료

    의병자료에 대한 전체 704 건의 기사검색

    번호 자료명 자료내용
    141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충청북도(忠淸北道) 청주(淸州) 방면의 불온에 관한 한국주차군 사령관의 보고 이첩의 건 발간일: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발신일: 1907-07-26 발신자: 육군성 수신자: 외무성 전보 번역 7월 26일 오전 9시 50분 발 오후 0시 50분 착 대신 앞 하세가와(長谷川) 군사령관 충청북도 청주(淸州)에서 약간 불온한 조짐이 있기 때문에 오늘 대전(大田)수비대에서 하사 이하 약 15명을 파견함. 그밖에는 현재 대체로 이상이 없음.

    142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보병 제14연대의 상륙과 경비배치[配備]에 관한 한국주차군 사령관의 보고 이첩의 건 발간일: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발신일: 1907-07-26 발신자: 육군성 수신자: 외무성 전보 번역 7월 26일 오후 0시 1분 발 1시 53분 착 대신 앞 하세가와(長谷川) 보병 제14연대의 2개 대대는 오전 9시 반에 전부 상륙을 마쳤음. 즉시 기차 및 선박편으로 수송하여 각 수비지로 향하도록 함. 경비배치에 대해서는 추후에 보고하겠음.

    143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토우세이??|| 훈난?? 방면의 불온에 관한 한국주차군 사령관의 보고 이첩의 건 발간일: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발신일: 1907-07-26 발신자: 육군성 수신자: 외무성 전보 번역 7월 26일 오후 3시 40분 발 6시 10분 착 대신 앞 하세가와(長谷川) 통영(統營), 진남(鎭南)의 인민이 한국병과 합세하여 폭동을 일으키고 있다는 보고를 접하고 진해만(鎭海灣)에서 장교가 인솔하는 약 50명을 파견했음. 해군 방비대에서도 병졸 약간 명을 파견시킬 것임.

    144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전수 제3160호 일한협약 발표 후에 있어서 한국 내의 형세보고의 건 발간일: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발신일: 1907-07-27 수신일: 1907-07-27 발신자: 외무차관 수신자: 외무차관 No.3160 전신 경성(京城)발 40년 7월 27일 오전 11시 35분 동경(東京)착 40년 7월 27일 오후 3시 친다(珍田) 외무차관 이토(伊藤) 통감 제101호 하야시(林) 외무대신으로부터 신 협약 발표 이래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이곳의 민심은 대체로 정온함. 지방에서는 다소의 요란(擾亂)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아직 그에 관한 상세한 보고를 접하지 못함.

    145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총영(總營) 방면의 폭도 정황과 군대수송 종료에 관한 보고 이첩의 건 발간일: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발신일: 1907-07-27 발신자: 외무대신 수신자: 외무대신 참1발 제6호 메이지 40년 7월 27일 1. 하세가와(長谷川) 대장 보고 7월 26일 오후 3시 45분 발전(發電) 동 일 동 6시 10분 착 통영(진남)의 인민이 관병과 합세하여 폭동을 일으키고 있다는 보고를 접하고 진해만(鎭海灣)에서 장교가 인솔하는 약 50명을 파견했음. 해군 방비대에서도 병졸 약간 명을 파견시킬 것임. (통영(진남)은 거제도(巨濟島)의 서쪽 대안에 있음) 2. 제12사단장 보고 7월 26일 오후 7시 40분 발전(發電) 동 일 동 8시 7분 착 인천호[仁川丸]는 오후 5시에, 길림호[吉林丸]는 오후 6시 30분에 출범함. 이로써 전부가 출범을 마침.

    146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제12여단병 경비배치에 관한 한국주차군 사령관의 보고 이첩의 건 발간일: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발신일: 1907-07-27 발신자: 외무대신 수신자: 외무대신 참1발 제7호 메이지 40년 7월 27일 한국주차군 사령관 보고 7월 26일 오후 6시 40분 발전(發電) 동 일 동 11시 4분 착 제12여단 도착 후의 배치는 다음과 같음. 연대본부와 1개 대대는 대구(大邱)에 주둔하고 여기에서 1개 중대(1개 소대를 결함)를 부산(釜山)에, 1개 소대씩을 울산(蔚山) 및 영일(迎日)에 나누어 파견함. 1개 대대는 대전(大田)에 주둔하고 여기에서 1개 중대(1개 소대를 결함)를 공주(公州)에, 1개 소대씩을 군산(群山) 및 청주(淸州)(대전(大田) 북쪽)에, 1개 중대를 광주(光州)에 나누어 파견함. 또한 목포(木浦)에는 1개 분대의 연락초(連絡哨)를 설치함. 광주(光州)분견대는 부산(釜山), 목포(木浦) 간의 해로를 이용함. 여단장이 지휘하는 2개 대대와 1개 중대는 용산(龍山)에 주둔하고 여기에서 수원(水原), 인천(仁川), 해주(海州), 개성(開城)에 각각 1개 중대를, 영등포(永登浦)에 1개 소대를 나누어 파견함. 해주(海州)분견대는 인천(仁川)에서 해로를 이용함. 1개 연대(1개 대대와 1개 중대를 결함)는 평양(平壤)에 주둔하고 여기에서 정주(定州), 평양(平壤) 남쪽의 황주(黃州)에 각각 1개 중대를, 「친운사」(진남포)에 1개 소대를 분견함. 부산(釜山), 대구(大邱), 인천(仁川), 용산(龍山)의 제13사단병은 점차로 경성(京城)으로 소환하고 대전(大田) 수비병은 전주(全州)에 있는 중대에 합류함. 철도선로 가운데 위험한 지점에는 감시병을 배치해 두었음.

    147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경성(京城) 부근 및 이천(利川) 방면의 형세와 아울러 폭도 경비에 관한 한국주차군 사령관의 보고 이첩의 건 발간일: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발신일: 1907-07-27 발신자: 외무대신 수신자: 외무대신 참1발 제8호 메이지 40년 7월 27일 한국주차군 사령관 보고 7월 26일 오후 9시 40분 발전(發電) 동 27일 오전 1시 45분 착 공병 제13대대의 제1중대는 오후 2시에 경성(京城)에 도착함. 경성(京城) 부근은 대체로 정온함. 이천(利川)(경성 동남쪽 10리 정도)에는 폭도민이 집합한다는 보고가 있었기 때문에 내일 경성(京城)에서 척후병을 파견하려고 함.

    148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보병 제12여단의 부산(釜山) 도착에 관한 한국주차군 사령관의 보고 이첩의 건 발간일: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발신일: 1907-07-27 발신자: 외무대신 수신자: 외무대신 참1발 제9호 메이지 40년 7월 27일 한국주차군 사령관 보고 7월 27일 오전 9시 40분 발전(發電) 동 일 동 11시 12분 착 보병 제12여단은 오늘 오전 7시를 기하여 전부 부산(釜山)에 도착했음.

    149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군대수송 종료에 관한 제12사단장 보고 이첩의 건 발간일: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발신일: 1907-07-26 수신일: 1907-07-27 발신자: 외무대신 수신자: 외무대신 전보 7월 26일 오후 7시 40분 발 8시 5분 착 육군대신 앞 제12사단장 인천호[仁川丸]는 오후 5시에, 길림호[吉林丸]는 오후 6시 30분에 출범함. 이로써 전부 출범을 마침.

    150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제12여단병 경비배치에 관한 한국주차군 사령관의 보고 이첩의 건 발간일: 메이지 40년 7월에서 동(同) 41년 1월까지한국에 있어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의 밀사파견과 동국 황제의 양위 및 일한협약체결 1건 발신일: 1907-07-26 수신일: 1907-07-27 발신자: 외무대신 수신자: 외무대신 전보 7월 26일 오후 6시 40분 발 오후 11시 2분 착 육군대신 앞 하세가와(長谷川) 군사령관 제12여단 도착 후의 배치는 다음과 같음. 연대본부와 1개 대대는 대구(大邱)에 위치하고 여기에서 1개 중대(1개 소대를 결함)를 부산(釜山)에, 1개 소대씩을 울산(蔚山) 및 영일(迎日)에 나누어 파견함. 1개 대대는 대전(大田)에 위치하고 여기에서 1개 중대(1개 소대를 결함)를 공주(公州)에, 1개 소대씩을 군산(群山) 및 청주(淸州)(대전(大田) 북쪽)에, 1개 중대를 광주(光州)에 나누어 파견함. 또한 목포(木浦)에는 1개 분대의 연락초소를 설치함. 광주(光州)분견대는 부산(釜山), 목포(木浦)간의 해로를 이용함. 여단장이 지휘하는 2개 대대와 일부는 용산(龍山)에 위치하고 여기에서 수원(水原), 인천(仁川), 해주(海州), 개성(開城)에 각각 1개 중대를, 영등포(永登浦)에 1개 소대를 나누어 파견함. 해주(海州)분견대는 인천(仁川)에서 해로를 이용함. 1개 연대(1개 대대와 1개 중대를 결함)는 평양(平壤)에 위치하고 이곳에서 정주(定州)와 평양(平壤) 남방에 있는 황주(黃州)에 각각 1개 중대를, 진남포(鎭南浦)에 1개 소대를 분견함. 부산(釜山), 대구(大邱), 인천(仁川), 용산(龍山)에 있는 제13사단의 병사들은 점차로 경성(京城)으로 소환하고, 대전[大田]수비병은 전주(全州)의 중대에 합류함. 철도선로 가운데 위험한 지점에는 감시병을 배치해 두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