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콘텐츠

선택

선택

    대한인국민회

    대한인국민회 [문서류] [기타] 에 대한 전체 24 건의 기사검색

    번호 자료명 자료내용
    1 대한독립운동역사와 대한민국독립운동의 참상(1919.4.12.)

    1919년 4월 12일 재동경조선독립청년단 대표 송계벽[宋繼碧: 송계백(宋繼白)의 오류)]과 고지영(高志英)이 ‘대한독립운동역사’와 ‘대한국독립운동의 참상’이란 제목으로 재외 동포들에게 보낸 문건이다. 두 사람은 2월 8일과 3월 1일에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이 한국의 독립문제를 전 세계로 널리 알림과 동시에 왜정부[일본정부]로 하여금 한국의 식민통치에 큰 타격을 가했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재외 동포들에게 파리강화회의에 대한 외교활동을 비롯한 각종 외교를 통해 더욱 선전활동에 매진해 줄 것과 독립만세운동으로 왜정부로부터 당한 각종 만행의 참상을 널리 알려줄 것을 당부하였다.

    2 조선민족독립회의 진술서(1919.5.)

    1919년 5월 경성[서울]에 있는 조선민족독립회 본부가 3.1 독립운동으로 일어난 조선 민족의 독립 염원을 전 세계에 있는 유지들에게 알리기 위해 작성한 진술서다. 진술서에는 조선과 일본의 역사적인 관계를 논한 뒤 일본의 조선 침략과 지배에 대한 부당성과 조선 독립의 이유와 그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고 정의를 표방하는 세계 만국에게 이러한 조선 민족의 원군이 되어 줄 것을 호소하였다.

    3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필업생 김윤식이 작성한 독립축하 기고문(1919.5.10.)

    1919년 5월 10일 3.1운동 발발 소식을 들은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졸업생 김윤식(金允湜)이 “소원성취 -축 대한독립만세”란 제목으로 쓴 기고문이다. 해외 동포들에게 독립선언의 기쁨 소식을 알리기 위해 작성한 글인데 하나님의 가호로 대한민국이 영원한 독립국가로 나아가기를 염원하였다.

    4 조선과 미국이 체결한 조미수호통상조약의 영문본(1882.5.22.)

    1882년 5월 22일 조선과 미국이 제물포에서 체결한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의 영문본이다. 이 조약은 일본 세력의 확대를 견제하려는 청국의 동북아전략과 상업상. 정치상 이익 추구를 위해 극동으로 진출하려는 미국의 의도가 맞물려 체결된 조약이다. 전문(前文)과 14개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일본과 체결한 조일수호조규와 달리 조선에 들어오는 미국 상품에 관세를 매길 수 있었으나, 미국인 범죄자에 대한 치외법권과 미국정부에 대한 최혜국 조항을 인정했다는 점에서 불평등조약이었다. 조선 측에서 신헌, 김홍집이, 미국 측에서 슈펠트(Robert W. Shufeldt) 제독이 서명하였다. 이 조약의 제1조는 두 나라 가운데 어느 한 나라가 다른 나라의 침략을 받으면 이를 돕는다는 이른바 거중조정(居中調停, good offices) 조항이 들어 있는데, 미국 측은 이를 외교적 수사에 불과한 의례적인 조항으로 간주했으나 한국 측은 유사시 미국이 한국을 도와줄 것임을 입증하는 중요한 조항이라고 간주하였다. 이에 따라 구한말 고종은 국가와 정권의 위급시마다 이 조약에 의거하여 미국에 도움을 요청하였고,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세력과 한국독립운동을 지지하는 미국인들이 미국정부에 이 조항의 제1조를 실천하라고 요청하였다.

    5 종전 이후 미국 점령지 일본의 현황(1948.8.15.)

    1948년 8월 미국 국방성 민사국이 공식 자료에 기초하여 작성한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미국 점령지 일본의 현황에 대한 보고서이다. 문건의 제목은 "Occupied Japan"이다. 이 문건은 종전 후 4개 섬으로 줄어든 일본의 영토, 종전 전후 영토 면적 인구의 변화, 연합국 점령군 사령관 맥아더(Douglas MaCarthur)와 미국정부의 점령지 통치정책과 발포 법령의 목적, 일본 통치와 관련된 연합국의 각종 기관들, 점령과 통치를 위해 일본 항복 후 미국이 가장 먼저 내린 명령, 항복조건의 이행, 군대 해산과 송환, 극우 민족주의적 요소의 제거, 일본에 대한 항복 요구와 항복 후 일본 처리 방안을 담은 포츠담선언의 실행 문제, 전범자 체포와 재판, 질병과 소요의 예방, 경제의 본질과 전쟁의 효과, 식량과 농업, 농촌토지개혁과 경제개혁, 노동개혁, 산업과 생산, 대외무역, 배상문제, 일본의 최고 정치구조, 연합군사령부 통치하의 발전문제, 일본인의 인권선언, 일본의 헌법과 법률구조, 민주주의를 향한 조치들 등등 전후 일본과 관련된 제반 문제들을 기술한 것이다.

    6 김용성(Arthur Y. Kim)의 연설문(1944.12.1.)

    1944년 12월 1일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집행부 선전과장 김용성이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라이온스클럽에서 연설한 영문 연설문이다. 1910년 일본의 강압으로 나라를 빼앗긴 이후 한국인들은 이에 굴복하지 않고 끊임없이 독립운동을 펼쳤고 마침내 열강의 카이로선언으로 한국 독립을 보장 받게 되었다고 했다. 향후 재미한인들은 공동의 적인 일본의 패배를 위해 온힘을 다할 것임을 약속했다.

    7 한국 관련 강연자 구타펠(Minerva L. Guthapfel) 소개문(1919)

    1919년 구타펠(Minerva L. Guthapfel)이 한국 관련 강연에서 사용한 강연자 소개 홍보문이다. 강연 제목은 "한국의 현실(Real Life of Korea)"이다. 이 홍보문에는 구타펠이 선교가, 작가, 강연자로 활동하며, 한국과 한국기독교에 대해 생생한 정보를 알려주며, 미 전역의 교회연단과 강연단 3,000여 곳에서 강연했다고 되어 있다. 또 구타펠의 강연에 대해 헐버트(H. B. Hulbert) 교수, 로버츠(Dayton Roberts) 목사, 존스(H. N. Jones) 부국장 등 교수, 주교, 목사, 교단 임원, 시청 고관, 사회단체장 등이 강연자 구타펠과 그녀의 강연에 대한 호평을 담았다. 구타펠 소개문에는 저작권 등록이 되어 있다.

    8 구타펠(Minerva L. Guthapfel)이 배포한 일제의 한국기독교 탄압상(1919)

    1919년 구타펠(Minerva L. Guthapfel)이 미국 기독교인들에게 한국 기독교의 실상과 일본의 한국 기독교 탄압상을 널리 알리기 위해 작성하여 배포한 문건이다. 구타펠은 1) 10년 전 한국 기독교의 폭발적 성장, 2) 일본의 한국 교회와 기독교인과 선교사들에 대한 극악한 탄압 사례들, 3) 일본의 탄압으로 고통받는 한국 신자들의 상황, 4) 일제의 한국어 탄압과 일본어 교육 강제로 인한 한국어에 기반한 기독교 선교의 위축 가능성, 5) 한국 학생들에 대한 고등교육 기회 박탈, 6) 일제의 한국내 기독교 활동의 저지와 탄압, 7) 제국주의적이며 이교도적인 일제의 기독교와 불교 통합정책에 따른 한일 기독교인의 불이익과 일제의 의도적인 한국기독교 억제와 탄압, 한국민인 3월 1일 이후 소극적인 저항운동을 전개하는 상황 등을 지적한 다음, 한국에서 미국 기독교의 지원으로 기독교인으로 성장한 한국인들을 보호하고 그들이 신국가를 건설하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미국인들이 미국정부에 일본의 한국통치 문제를 항의할 것을 촉구하였다.

    9 구타펠(Minerva L. Guthapfel)이 배포한 일제의 한국경제 침략상(1919)

    1919년 구타펠(Minerva L. Guthapfel)이 작성하여 배포한 일제의 한국경제 침략상을 고발한 문건이다. 구타펠은 1) 한국의 위생, 도로, 철도, 학교, 농업을 개선시켰다는 일제의 주장은 이미 선교사들과 YMCA가 해오던 사업으로서 무의미하며, 2) 일제의 한국 근대화 정책의 성과를 일본인이 독식하면서 한국민은 굶주리게 되었고, 3) 일제의 철도 부설로 토지를 몰수당한 한국인의 저항은 죽음으로 끝났음을 강조한 다음, 한국에서 일본에 의해 생명의 위협을 느낄 정도의 탄압을 받았음이 사실이며 이를 입증할 증거를 가지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10 구타펠(Minerva L. Guthapfel)이 배포한 일제의 한국에 대한 정치적 탄압상과 침략상(1919)

    1919년 구타펠(Minerva L. Guthapfel)이 배포한 일제의 한국에 대한 정치적 탄압과 침략상을 고발한 문건이다. 구타펠은 1) 중국과 한국의 지난 10년간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미국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고, 2) 수천 년 역사의 한국은 일본 침략 전까지 타국의 통치를 받은 적이 없으며, 3) 러일전쟁 때 한국을 위해 싸운다던 일본은 종전 후 한국을 보호국화하고 황제를 축출하고 황태자를 일본인과 강제 결혼시키고 황제를 살해하고 새로운 황제를 즉위시키고 황제와 귀족들에게 한일병합을 요청했다고 주장했으며, 4) 한국 사신들이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한국에 대한 보호를 요청했으나 루스벨트는 간여하지 않았고 결국 미국은 한국에 부채를 지게 되었음을 상기시키고, 5) 한국과 미국이 40년 전 위급시에 서로 돕는다는 조약을 체결했으니 이에 따라 한국을 도와야 한다며 한국에 대한 지원을 호소하였다.

    123
    1 / 3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