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김철 金澈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김철
한자명 金澈
본 관 영산(永山)
이 명 김중청(金重淸), 김영탁(金永澤)
출신지 전라남도 함평(咸平)
생몰년월일 1886. 10. 15 ~ 1934. 6. 29
운동계열 임시정부
관련 단체 신한청년당,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한적십자회, 대한교민단, 육군무관학교, 임시의정원, 의용단, 한국독립당, 중한항일대동맹
관련 사건  
주요 활동 1918년 신한청년당 결성에 참여, 1919년 3월 하순 대한독립임시사무소 설치에 참여, 1919년 5월 3일 재무부위원, 1919년 7월 대한적십자회 상의원, 1919년 8월 5일 임정 교통차장, 1920년 1월 의용단 조직에 참여, 1920년 3월 10일 임정 지방선전부 부총판, 1920년 5월 28일 육군무관학교 교관, 1922년 3월 상해 대한교민단장, 1924년 5월 31일 회계검사원 검사장, 1926년 12월 16일 임정 법무장, 1927년 8월 19일 임정 군무장, 1930년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 1931년 11월 중한항일대동맹 한국측 상무위원, 1932년 7월 임정 자격심사위원, 1933년 10월 국무위원.
포상훈격(연도) 독립장(1962)

1886년 10월 15일 전라남도 함평군(咸平郡) 신광면(新光面) 함정리(咸井里) 구봉(九峯)에서 아버지 김동진(金東鎭)과 어머니 전주 이씨(全州 李氏)의 4남 1녀 중 3남으로 출생하였다. 본관은 영산(永山)이며 자는 성필(成弼), 호는 일강(一江), 어릴 때 이름은 영탁(永鐸), 이명은 김중청(金重淸)이다.

 

향리 서당에서 한학을 배운 후 1908년 9월부터 1909년 2월까지 영광(靈光)의 사립 광흥학교(光興學校)에서 공부하였다. 이어 1909년 5월부터 1912년 3월까지 법관양성소(法官養成所)에서 공부하였으며, 일본으로 유학하여 일본 메이지(明治)대학을 졸업하였다. 1915년에 귀국하였다. 일제가 식민통치에 협력할 것을 강요하자 국내에서의 생활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중국 상하이(上海)로의 망명하였다.

 

1917년 11월 4일 상하이에 도착한 후, 이때 영탁에서 철(澈)로 이름을 바꾼 것 같다. 상하이 도착 후 주소를 상하이 해송양행(海松洋行)에 두었다. 해송양행은 1901년 평남 중화군(中和郡)에서 상하이로 건너간 한진교(韓鎭敎)가 운영하던 약제상으로 항일독립운동가들의 연락처였다.

 

1918년 신한청년당(新韓靑年黨) 창립에 참여하였다. 신한청년당은 각지로 대표를 보내 국제정세를 설명하고 파리대표의 활동자금을 모으고 또 이를 후원하고자 국내외에 걸친 독립운동의 전개를 촉구하였다. 우선 자금모집을 위해 전남 영광으로 돌아와 동창 조병모(曺秉謨)의 집에 머무르며 지방유지들의 협력을 얻고 또 자기 몫의 재산을 처분하여 독립운동자금을 마련하였다.

 

당시 자신의 소유로 전남 함평에 답(畓) 1정(町) 5반(反) 값 3천엔, 전(畑)(화전) 5반보(反步) 값 2백엔, 초옥(草屋) 1동 12평 값 2백엔의 자산을 소유하고 있었다. 천도교 측에서도 3만원의 독립운동자금을 송금받기로 하고 상하이로 돌아갔다. 그런데 일제는 1920년 7월 17일자 궐석 재판에서 “신한청년당 대표로 국내에 파견되어 군자금 모금활동을 전개하였다”며 징역 5년을 선고하였다.

 

1919년 3월 하순 ‘대한독립임시사무소’ 설치에 참여하였다. 상하이 프랑스조계 보창로(寶昌路) 329호 건물에 마련된 대한독립임시사무소는 각국을 향해 독립을 선언하면서 임시정부 조직을 시작하였는데, 그는 선우혁(鮮于赫)과 함께 재무를 담당하였다. 그 해 4월 10일 개최된 제1회 임시의정원회의에서 장병준(張柄俊)·한남수(韓南洙)와 함께 전라도의원으로 당선되어 약 4개월 동안 활동하였다. 그리고 1921년 3월 18일 김인전(金仁全)·나용균(羅容均)·정광호(鄭光好)와 함께 의원으로 출석하였다.

 

1919년 5월 3일 구영필(具榮弼)·김응선(金應僐)·김홍권(金弘權)·서성권(徐成權)·송세호(宋世浩)·최완(崔浣)·한남수(韓南洙)와 함께 임시정부 재무부 위원으로 선임되어 그 해 7월 6일까지 두 달여 동안 활동하였다. 그 해 8월 5일 교통차장으로 임명되었고, 1921년 3월 3일까지 1년 7개월 동안 재임하였다. 그중 1919년 11월 26일부터 12월 3일까지 총장 문창범(文昌範)이 취임하지 않아 교통총장대리로 활동하였다.

 

1920년 3월 10일 임정 지방선전부 부총판으로 임명되었다. 국내통치를 위한 관공리의 행정 연결선이었던 연통제가 무력화되면서, 돌파구로 모색된 것이 지방선전부였다. 1920년 5월 28일 육군무관학교 교관으로 임명되었고, 그 해 11월 18일에는 육군무관학교 학도대 중대장을 겸임하였다. 임정 군무부 직할로 설립된 육군무관학교는 육군 초급장교를 양성하기 위한 임정의 사관학교로 2회 졸업생을 낸 이후 폐교되었다. 따라서 그가 육군무관학교 교관 및 중대장으로 활동한 기간은 약 7개월이었다.

 

한편 1919년 7월에는 대한적십자회의 21명 상(常)의원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 1920년 1월 김구·김순애·손정도·윤현진 등과 같이 의용단(義勇團)을 조직하였다. 그러나 의용단은 1920년 8월 12일 일제에 검거되어 일제와의 전쟁이 시작되면 군사로서 조국에 봉사한다는 목적을 이루지 못하였다. 1920년 2월, 여러 번 기고하였던 독립신문의 재정난 타개를 위해 주식모집발기위원회의 찬성원이 되었다.

 

1921년 8월 한중호조총사의 평의원으로 선정되었다. 광동정부(廣東政府, 국민당)의 공식 협력을 얻기 위해 먼저 민간 차원의 협력 관계를 창출해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이었다. 1921년 9월 19일 여운형(呂運亨)·한진교(韓鎭敎) 등 14명과 함께 상하이 교민단 본구(本區) 임원이 되었다. 1922년 3월부터 8월까지는 교민단장으로 활동하였다.

 

1924년 1월 13일 교민단 학무위원 8명 중 1명으로 당선되었고, 1931년 10월 31일 김사집(金思潗)·안창호(安昌浩)와 함께 교민단 심판으로 임명되었다. 1931년 11월부터 대한교민단은 교민단장제를 폐지하고 합의제인 정무위원제(政務委員制)로 변경하였는데 김구(金九)와 함께 정무위원에 선출되었다. 즉 1921년 9월 상하이 교민단 본구 임원이 된 이후 1932년 윤봉길의거로 인하여 항주로 피신하기까지 계속하여 교민단에 깊은 관심을 갖고 활동하였다.

 

1922년 7월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 회원으로 임시의정원과 국민대표회의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데 노력하였다. 그러나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1922년 8월 11일 해체되었다.

 

1921넌 5월 29일 상해 프랑스조계에서 개최된 국민대표회 발기회에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이어 1922년 5월 10일 국민대표회의 주비위원회(籌備委員會)가 「국민대표회의 주비위원회 선언서」를 발표하였는데 그 중 회계를 담당하였다.

 

1923년 1월 3일 교회당인 삼일당(三一堂)에서 시작된 국민대표회의는 1923년 5월 15일까지 4개월여 동안 63회가 열렸다. 국민대표회의에 전남대표로 참석했고 헌법기초위원으로 활약했던 바, 그동안의 독립운동 과정을 반성하고 임정을 운동의 실천에 맞도록 개조하여 개혁하자는 개조파의 입장에 섰다.

 

국민대표회의 결렬 이후 1924년 5월 31일 국무원 회계검사원 검사장에 임명되었는데, 1924년 12월 17일 사임을 요청하여 해임되었다. 1925년 2월 25일 신한청년당의 이사로 선임되었다. 이즈음 첫 번째 아내 김정자(金貞子)가 사망하였다. 1925년 3월 23일 박은식(朴殷植)을 제2대 대통령으로 구성된 임시정부 내각에서 외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1926년 12월 14일 김구 국무령 체제가 수립되었고, 12월 16일 법무장으로 선임되었다. 그리고 그 해 12월 23일 헌법개정기안위원에 임명되었다. 1927년 8월 19일에는 군무위원으로 취임하였다. 이때 임시정부는 상하이 백래니몽(白來尼夢) 마랑로(馬浪路) 보경리(普慶里) 4호(현 상하이 노만구(盧灣區) 마당로(馬當路) 306농(弄) 4호)를 청사로 사용하였다. 이 건물은 본인의 명의로 1926년 3월 임대한 것으로 이후 1932년 5월 임시정부가 항저우로 이전할 때까지 6년 동안 사용되었다.

 

1927년 3월 21일 한국유일독립당상해촉성회 집행위원으로 선정되었다.

 

첫 번째 아내와 사별한 후 광주도립병원 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던 수성최씨(隋城) (崔氏) 혜순(惠淳)과 재혼하였다. 그녀는 마랑로의 임시정부 청사 부근에 혜생(惠生)의원을 개원하고 의원 2층에 살림집을 마련하였다. 1928년 첫째 딸 미경이 태어났다.

 

1929년 11월 ‘김영탁(金永鐸)’이라는 이름으로 중국 국적을 취득하였다. 귀화 당시 만 43세였는데 귀화증에는 39세, 주소는 백래니몽 마랑로, 직업은 상업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촌형 김영복(金永福)의 첫째 아들 김석(金晳)이 첫째 아들로, 김석의 동생 김덕근(金德根)이 둘째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1930년 1월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하였고, 11월 8일 군무장으로 선출되었다.

 

1931년 4월 김구·이동녕(李東寧)·조소앙(趙素昻)·조완구(趙琬九)와 함께 「임시정부의 한국독립당 및 동삼성(東三省) 한교(韓僑) 문제에 관한 선언」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그 해 9월 박창세(朴昌世)·이웅(李雄)·왕웅(王雄)과 한국군인회를 조직하여 「군인회간장(軍人會簡章)」을 발표하는 등 무장항일투쟁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 계획은 실현되지 못한 듯하다.

 

10월 31일에는 상하이 대한교민단 부속 의경대(義警隊)의 심판으로 임명되었다. 11월에는 중국인과의 공동항일전선을 형성하여 중국항일대동맹(中國抗日大同盟)을 조직하고 조소앙과 중국인 오징천(伍澄千)·서천방(徐天放) 등과 함께 상무위원으로 활약하였다.

 

1932년 4월 29일 윤봉길 의거가 일어난 후 일제는 현상금을 걸고 임시정부 요인들을 체포하려 하였다. 김구와 함께 신한청년당 당원이었으며 중국국적을 가진 상해교통대학 체육교사인 신국권(申國權)의 주선으로 미국인 피치(S. A. Fitch, 중국명 (費吾生))와 교섭하였다. 그리하여 김구를 포함해 4명이 피치의 집으로 이주하여 20여 일을 은신하였다. 일제의 추적이 심해지자 임정은 항저우로 이전하였다.

 

항저우에서 처음 사용한 임시정부 청사는 청태(靑泰) 제2여사(第二旅社)(현 (人和路) 22호)였는데 이곳 32호실에 머물렀다. 현재 청태 제2여사 자리에는 군영반점(群英飯店)이 있는데 항저우시 인민정부상업국 소속 음식복무공사에 속한 국영여관 겸 음식점이다. 5월 15~16일 개최된 제1회 국무위원회의에서 군무부장에서 재무부장으로 직무가 바뀌었다.

 

항저우로 청사를 이전한 임시정부는 일명 ‘항주사건’에 휘말렸다. 임시정부로 유입된 독립자금의 문제와 조카지만 아들로 입양된 김석이 『시사신보(時事新報)』 1932년 5월 21일자에 ‘안창호가 진정한 혁명자가 아니라’라는 내용의 기사를 투고한 데 따른 구타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이 사건으로 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은 송병조(宋秉祚)·이유필(李裕弼)계, 김철·조소앙계, 김구계로 분리되었다. 1932년 11월 28일 아내 최혜순과 함께 임시의정원 의장 앞으로 사직원을 제출하였는데 당일 반환되었다.

 

1932년 11월 30일 오후 8시 반경 상하이 프랑스조계 감유애로(監維藹路) 여의리(如意里) 2호 중국인 황전영(黃展榮)의 집에서 일제경찰들에게 체포되어 일본영사관에 감금당하였다. 변호사 채효백(蔡曉白)이, 김석과 함께 1929년 10월 중국에 귀화하여 받은 연자(聯字) 67호 국적증명서를 상하이의 프랑스영사관에 가져다주었다.

 

프랑스영사관은 프랑스조계에 들어와 이들을 체포한 것은 불법이라며 일본영사관에 강경 항의하였고, 곧 석방되었다. 석방된 후 동신교(東新橋) 대호반점(大滬飯店) 666호에 잠시 거처하면서 료(廖)씨로 성을 고쳐 불렀다.

 

1933년 3월 6일 제25회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국무위원 사면청원이 가결되고, 신임 전라도의원으로 선출되었다. 7월에는 임시의정원 의원에 선임되어 의원자격심사위원으로 신도(新到)의원의 자격을 심사하였다. 10월에는 2년 임기의 제12기 국무위원제의 국무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34년 1월 2일 제26회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문일민(文一民)·윤기섭(尹琦燮)과 함께 전형위원(신도의원 심사)에 당선되었다. 또한 윤기섭과 함께 상임위원으로 선출되었다. 3월에는 송병조(宋秉祚) 등과 함께 한국독립당대표로 난징(南京)에서 개최된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제2차 회의 및 한국혁명 각 단체 대표회의에 참가하였다. 4월 2일 국무회의 비서장으로 선임되었다.

 

1934년 4월 하순 급성폐렴에 걸려 5월 4일 항저우 신민로(新民路) 광자병원(廣慈病院) 동루하두등(東樓下頭等) 1호실에 입원하였다. 6월 20일 갑자기 병이 악화하여 6월 29일 오후 6시 사망하였다. 7월 2일 오전 5시 병원에서 출관하여 서호가(西湖街) 악비묘(岳飛廟) 뒤 묘지에서 장례를 치르고 유해는 토장(土葬)하고 9시에 마무리하였다. 현재 이곳에는 아파트단지가 조성되어 묘소는 위치조차도 찾을 수 없다. 사망한 후 최혜순은 상하이에서 3년을 더 머무르다 여덟 살, 여섯 살이던 두 딸을 데리고 귀국하였다.

 

1975년 8월 함평 유림들과 동지들이 구재(鳩財)로서 ‘일강김철선생숭모비’를 건립하였다. 1999년부터 함평군 신광면 함정리에 김철기념관 건립 공사를 시작하여 2003년 준공하였다. 2002년 8월 15일에는 ‘일강김철선생 상’이 건립되었다. 1985년 김철수가 집필하고 함평문화원에서 발간한 『함평의 얼』 3권으로, 김철의 일생을 이야기 형태로 기록한 전기가 『독립투사 김철』 이라는 제목으로 발간되었다. 2006년에는 국가보훈처에서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회의 비서장 공문(1934. 4. 20) [판형1]

 

⋮윤선자⋮

|참고문헌|

『동아일보』 ; 『사상월보』 ; 『사상휘보』 ; 『삼천리』 ; 『신한청년』 ; 『조선일보』 ; 『조선중앙일보』 ;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11~20, 1990·1994 ; 국사편찬위원회 편,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35권, 2005~2009 ; 재상해일본총영사관 편, 『조선민족운동연감』, 1932 ; 경상북도경찰부 편, 『고등경찰요사』, 1934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자료집』 11·12·14, 1976·1977·1978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2권·제3권·제4권·제8권·제9권, 1971·1972 ; 김구 저, 이만열 옮김, 『백범일지』, 역민사, 1997 ; 김희곤, 『중국관내 한국독립운동단체 연구』, 지식산업사, 1995 ;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지식산업사, 2004 ; 孫科志, 『上海韓人社會史 : 1910-1945』, 한울아카데미, 2000 ; 윤대원, 『상해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윤선자, 『영원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요인 김철』,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0 ; 오세창,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역할」, 『한국사론』 10, 국사편찬위원회, 1981 ; 김희곤, 「한국유일독립당촉성회에 대한 일고찰」, 『한국학보』 33, 일지사, 1983 ; 김희곤, 「신한청년단의 결성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986 ; 양양석,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연구」,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87 ; 반병률, 「대한국민의회와 상해임시정부의 통합정부 수립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 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1988 ; 김창수, 「한인애국단의 성립과 활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88 ; 노경채, 「한국독립당의 결성과 그 변천(1930~1945)」, 『역사와 현실』 창간호, 한국역사연구회, 1989 ; 한시준, 「상해한국독립당연구」, 『龍巖車文燮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89 ; 윤대원, 「대한민국임시정부 전반기(1919~1932)의 재정제도와 운영」,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80주년기념논문집』 상, 국가보훈처, 1999 ; 정혜경, 「대한민국임시정부 각원·의정원의원 명단과 약력」,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80주년기념논문집』 하, 국가보훈처, 1999 ; 손과지,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프랑스조계」,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80주년기념논문집』 하, 국가보훈처, 1999 ; 강덕상,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상해의 한중호조총사」, 『새로운 사료로 본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위상과 활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90주년 학술회의 프로시딩), 2009.
  • 김철_profile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회의 비서장 공문(1934. 4. 20)
  • 김철 프로필 사진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회의 비서장 공문(1934.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