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박용각 朴容珏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박용각
한자명 朴容珏
본 관  
이 명 박용규(朴容珪)
출신지 강원 철원(鐵原)
생몰년월일 1898. 11. 4 ~ 1957. 6. 6
운동계열 임시정부
관련 단체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열단, 조선혁명간부학교
관련 사건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열단, 조선혁명간부학교
주요 활동 대한민국임시의정원 강원 의원으로 활동, 의열단에서 무장독립투쟁 전개, 조선혁명간부학교에서 활동
포상훈격(연도) 애국장(1998)

1898년 11월 4일 강원도 철원군(鐵原郡) 철원면(鐵原面) 월하리(月下里)에서 태어났다. 박용규(朴容珪)라는 이명을 사용하였다. 미국으로 건너가 한인소년병학교를 세운 독립운동가 박용만(朴容萬)의 친척이다. 1919년 만세운동에 참여한 후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의열단(義烈團) 등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박용각의 동생 박용철(朴容喆)은 상하이(上海)에서 활동한 독립유공자이며, 여동생 박용경(朴容卿)은 해방 이전부터 진명여고보 교원으로 있다가 해방 후 진명여고 교장을 역임하였다.

1919년 4월 11일 상하이에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국내의 각 지방 인민을 대표하는 의원들로 구성된 대의기구이자 입법기관으로서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을 조직하고 같은 해 4월 25일 「대한민국임시의정원법」을 제정하였다. 임시의정원은 헌법을 비롯한 일체의 법률과 국가의 예산·결산 의결, 국무위원과 외교사절 임면, 외국과의 조약 체결, 상임위원회 운영 등을 추진한 측면에서 현재 국회와 유사하였다. 전국 팔도에서 의원을 선출한다는 임시의정원법에 근거하여 같은 철원 출신인 송세호(宋世鎬)와 함께 제4차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강원도 의원으로 새롭게 선출되었다.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활약하면서 홍진(洪鎭)·오의선(吳義善)·장도정(張道政) 등 동료 의원들과 함께 독립운동 전개를 위한 의연금 모집과 내외공채(公債) 발부에 임시의정원 의원들이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의연금 모집을 위해 내세운 방법은 미국·중국 거주 동포들과 국내 동포들로부터 각도 임시의정원 의원이 의연금 모집에 힘쓰고 국내 공동재산에 따라 납부할 것이었다.

이러한 활동을 지속하다가 1919년 7월 16일 임시의정원 의원에서 면직했으며, 반(反) 이승만(李承晩) 노선을 견지하였다. 1921년 이승만의 대미위임통치청원(對美委任統治請願)에 반대하는 성토문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신채호(申采浩) 등 53명과 함께 발표한 이 성토문에서 이승만·정한경(鄭翰景) 등이 대미 위임통치 청원을 한 것은 매국·매족의 청원을 한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1925년부터 청년동맹회(靑年同盟會)와 의열단(義烈團)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청년동맹회에서는 후보 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고 이후 의열단의 방침을 따라 중국군관학교(中國軍官學校)에 입학하였다. 의열단은 1919년 11월 만주 지린성(吉林省)에서 창립 당시 조선총독부 총독 이하 고관 등 일본 고위관료와 친일파 처단과 암살을 주목적으로 추진한 것에서 나아가 1927년부터 무장군사운동으로 노선을 변경하였다. 중국군관학교 간부훈련단에서 훈련을 마치고 베이징(北京)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1928년 10월 의열단 상해지방부, 청년전위사 명의로 국내 수해 구제금을 내기도 하였다.

1931년 일제의 만주 침공 후 난징(南京)으로 이동하였다. 난징에서는 국민당의 지원을 받은 조선혁명간부학교(朝鮮革命幹部學校)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1935년까지 조선혁명간부학교에서 청년 독립운동가를 양성하는 교육 활동에 힘썼다.

한편 상하이에서 코닥회사와 영미연초공사에 재직하기도 했으며, 1930년대 후반에는 사진재료점을 경영하고 상하이거류조선인회 참사, 삼신무역공사 전무취체역으로 활동하였다. 1939년 10월에는 재상해실업가유지조선방문단 부단장 자격으로 국내를 방문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8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차현지⋮

|참고문헌|

「요시찰인명부」, 1925 ; 在上海 日本總領事館 警察部 第二課, 『朝鮮民族運動年鑑』, 1932(국사편찬위원회 편,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별책 2, 2009 ; 『조선일보』, 1928. 10. 24, 1930. 9. 2, 1939. 9. 28 ; 『동아일보』, 1928. 10. 26, 1939. 10. 8·9, 11, 8 ;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편, 『대한민국임시정부의정원문서』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자료집』 9, 1975 ;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편, 『한국민족운동사료 : 중국편』, 1976 ; 우남이승만문서편찬위원회 편, 『雩南李承晩文書』 6, 연세대학교 현대한국학연구소, 1998 ;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별책2, 2005·2009, 1974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4권, 1972 ; 김영범, 『의열투쟁 Ⅰ-1920년대』 26,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김재승, 「부산출신 의열단원 박문희의 항일활동」, 『향토부산』 제25집,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9 ; 황선익,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강원도의원의 구성과 활동」, 『강원사학』 제33집, 강원사학회, 2019.
  • 박용각_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