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남자현 南慈賢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남자현
한자명 南慈賢
본 관 영양(英陽)
이 명  
출신지 경상북도 영양
생몰년월일 1872. 12. 7 ~ 1933. 8. 22
운동계열 만주방면
관련 단체 서로군정서, 조선혁명자후원회, 길림여자교육부흥회
관련 사건 길림대검거사건, 부토[武藤信義] 처단 의거
주요 활동 1919년 서울 3.1운동 참가. 만주로 망명해 서로군정서 활동, 1923년 여자권학회 조직, 1926년 12월 조선혁명자후원회 조직하고 중앙집행위원역임, 1927년 ‘길림대검거사건’으로 체포 구금된 독립운동가 구명운동, 1928년 1월 ‘길림여자교육회’ 조직, 1932년 9월 국제연맹조사단장 리튼에게 ‘한국독립원’ 혈서 전달 시도, 1933년 2월 부토 일본전권대사 처단 의거로 피체되어 수형.
포상훈격(연도) 대통령장(1962)

1872년 (음)12월 7일 아버지 남정한(南珽漢)과 어머니 진성 이씨 사이에서 1남 3녀 가운데 막내딸로 태어났다. 출생지는 경상북도 영양군(英陽郡) 석보면(石保面) 지경리(地境里)로 추정된다. 남편의 본적지는 경상북도 안동군 일직면(一直面) 일직리로 기록되어 있으나, 영양 일대에 거주하였다.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여 부친이 일찍부터 글을 가르쳤는데 7세에 이미 한글과 한문을 터득하고, 12세에는 『소학(小學)』과 『대학(大學)』을 읽었으며, 14세에는 사서(四書)를 독파하였고, 시를 지었다고 전한다.

 

1891년 영양 석보면의 김영주(金永周, 김상주(金尙周))와 혼인하였다. 을미의병에 참여했던 남편이 1896년 7월 11일 당시 진보(眞寶) 진보면(眞寶面, 현 경북 청송 진보면) 전투에서 목숨을 잃었다. 남편의 전사 후 12월에 태어난 유복자를 기르며 시댁에서 생활하였다. 효심이 지극하여 진보 진보면에서 효부상을 받을 정도였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이 무너졌다. 이어 1907년에는 광무황제가 강제로 퇴위되고, 군대마저 해산되고 말았다. 이 무렵 친정아버지 남정한이 의병운동에 나서자, 이를 적극 지지하였다고 전한다.

 

1910년 국권상실이후 친가와 시가인 안동과 영양의 지사들이 국권회복의 뜻을 품고 서간도로 망명하여 독립운동가로 활동하고 있었다. 1913년 무렵부터 이들과 연락을 주고받으며 연계를 이어가고 있었다.

 

1919년 2월말 서울 남대문통에 살던 김씨부인의 편지를 받고 상경하였다. 상경한 후 남대문교회를 중심으로 한 만세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가 3월 9일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퉁화현(通化縣)으로 망명하였다.

 

망명한 경상북도 인사들이 1919년 5월에 설립한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등 무장독립운동단체에서 활동하였다. 1920년 8월 시작된 일본군의 독립군 ‘대토벌작전’을 피해 서로군정서가 백두산 안도현을 거쳐 지린성(吉林省) 어무현(額穆縣)으로 이동하자 함께 따라왔다. 이곳에서 청산리전투에 참여하여 독립군의 간호에 전력을 다하였으며, 이로써 ‘독립군의 어머니’라는 칭호를 얻기도 하였다.

 

1920년대 중반까지는 주로 교회를 중심으로 한 교육활동에 주력하였다. 1921년 지린성 어무현(額穆縣) 나인구에서 20여 개가 넘는 교육단체를 조직하였고, 1923년에는 환런현(桓仁縣)에서 여자권학회(女子勸學會)를 조직하였다. 주로 순회 강연을 통해 여성들에게 민족의식을 불어넣는데 힘을 쏟았다.

 

1925년 4월 채찬(蔡燦)·박청산(朴靑山)·김문거(金文居)·이청수(李靑守) 등과 함께 지린성 안에서 조선총독처단 계획을 세웠다. 4월 김문거로부터 권총 한 자루와 탄환 8발을 받아 직접 서울로 잠입하였다. 혜화동 지인의 집에 머물며, 교회 신자로 변장하고 총독 처단을 준비하였다. 그러나 기회를 포착하지 못하여 다시 만주로 돌아갔다. 1934년 발행된 『진광(震光)』에는 1928년에 4월 ‘암살단’을 조직하여 거사를 시도하려고 서울에 잠입했지만 4월 6일 단원이 체포되어 실패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1926년 12월에는 지린성 판스현에서 정의부·한족노동당·남만청년동맹 등이 모여 조선혁명자후원회(朝鮮革命家後援會) 조직을 위한 발기회 92명 중 1인으로 참여하였다. 이 조직은 1927년 11월 초순 완전한 체계를 갖추었는데, 이때 김상덕(金相德)·고할신(高豁信)·이광민(李光民)(위원장)·이관린·권진화(權進華) 등과 함께 중앙집행위원으로 활약하였다.

 

1927년 2월 ‘길림대검거사건(吉林大檢擧事件)’ 으로 안창호를 비롯한 독립운동계 지도자 175여 명이 중국 관헌에게 체포되었다. 당시 지린에서 군사행동단체의 통일과 대독립당(大獨立黨)의 결성을 토의하던 중 붙잡혀 중국 경찰에 감금되었다. 이때 독립운동가 중 47명이 지린 감옥에 갇히게 되었는데, 이들을 일본 경찰에게 인수할 것이므로 이를 저지하고자 독립운동계가 구명 운동에 나섰다. 이때 이들의 옥바라지를 하면서, 이 사건을 여러 곳에 알리고, 비상대책반을 꾸리는 등 뛰어난 활약상을 보였다. 구금된 독립운동가들은 무사히 풀려나게 되었다.

 

1928년 1월 길림여자교육회(吉林女子敎育會)의 부흥총회를 열고 만주 한인 여성들의 통합과 운동을 결집하고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1931년 10월, 만주지역 독립운동계의 최고 지도자 김동삼(金東三)이 체포되어 하얼빈주재 일본총영사관에 갇히게 되었다. 이에 친척으로 가장하여 김동삼을 면회하고, 안팎 소식을 알렸다. 김동삼이 신의주로 이송된다는 소식을 듣고 구출 작전을 세웠지만 이동 날짜가 갑자기 바뀌는 바람에 뜻을 이루지 못하고 말았다.

 

1931년 9월 일제가 만주를 침략하고 1932년 만주국을 수립하자 침략의 불법성을 조사하기 위해 5개국 대표로 구성된 국제연맹조사단이 하얼빈에 파견되었다. 국제연맹조사단이 하얼빈에 도착하자 왼쪽 무명지 두 마디를 자르고 ‘한국독립원(韓國獨立願)’이라는 혈서를 써서 조사단에 보냈다. 자료에 따라서는 ‘조선독립원’, ‘대한독립원’을 썼다는 기록도 있다.

 

1933년 2월 이춘기(李春基)등과 주만일본대사(駐滿日本大使)이며 관동군 사령관인 부토 노부요시(武藤信義) 처단 계획을 세웠다. 만주국 건국 1주년 행사가 열리는 1933년 3월 1일을 거사일로 정하였다. 2월 27일 거지로 변장, 권총 1정과 탄환, 폭탄 등을 숨기고 창춘으로 향하던 중 하얼빈 교외 정양가(正陽街)에서 미행하던 일본영사관 소속 형사에게 붙잡히고 말았다.

 

이후 하얼빈주재 일본총영사관 감옥에서 6개월간의 가혹한 고문과 옥고로 건강이 악화되었다. 수감 6개월 후인 8월부터 일제에 항거하며 단식투쟁을 시작하였다. 단식한지 9일 만인 8월 17일 병보석으로 풀려났다. 출옥 후 여관에서 병간호를 받았지만 회복하지 못하고 1933년 8월 22일 사망하였다. 마지막 순간, 독립되는 날 자신의 돈 200원을 독립축하금으로 바치라는 것과 손자에게 교육을 시켜 내 뜻을 알게 하라는 유언을 남겼다.

 

1933년 8월 23일 영결식을 치르고 하얼빈의 외국인 공동묘지 마가구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8월 27일자 『조선중앙일보』에 「부토(武藤信義) 모살범(謀殺犯)」이란 기사로 사망 사실이 국내 언론에도 보도되었다. 1933년 10월 12일 묘비석이 세워졌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1933년 10월 묘지를 세운 동지들 [판형1]

 

남자현 가족 [판형1]

 

 

⋮강윤정⋮

|참고문헌|

『신한민보』, 1928. 3·15 ; 『조선일보』, 1933. 6. 11 ; 『조선중앙일보』, 1933. 8. 26·27·31, 『부인신보』 1947. 8. 22 ; 『가정신문』, 1946. 8. 21 ; 『동아일보』, 1934. 9. 5, 1946. 3. 3, 8. 21, 1948. 3. 3 ; 『震光』, 창간호, 1934. 1(한국독립당, 중국 항주 발행) ; 「朝鮮革命家後援會의 發起」, 『日本警察審問調書』 1927. 2. 14. (朝保秘 152호) ; 『부흥』, 제32권 2호, 1948. 3 ; 김무근, 『독립혈사』, 서울문화정보사, 1949 ; 박영랑, 『독립혈사』 2, 대한문화정보사, 1956 ; 김희곤 외, 『영양의 독립운동사』, 영양문화원, 2006 ; 박용옥, 『여성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박영석, 『만주지역한인사회와 항일독립운동』, 국학자료원, 2010 ; 강윤정 외, 『이야기로 만나는 경북여성』,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11 ; 서명훈, 『할빈시 조선민족 백년사화』, 민족출판사, 2007.
  • 남자현 프로필 사진
  • 남자현 가족
  • 1933년 8월 사망한 남자현과 임종을 지키는 가족들
  • 1933년 10월 묘지를 세운 동지들
  • 1933년 10월 묘지를 세운 동지들
  • 남자현_profile
  • 남자현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