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문용기 文鏞祺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문용기
한자명 文鏞祺
본 관 남평(南平)
이 명 호 : 관재(寬齋)
출신지 전북 익산(益山)
생몰년월일 1878. 5. 19 ~ 1919. 4. 4
운동계열 3.1운동
관련 단체  
관련 사건 이리군 만세운동
주요 활동 1919년 4월 4일 이리군 만세시위 주도
포상훈격(연도) 애국장(1990)

1878년 5월 19일 전북 익산군(益山郡) 오산면(五山面) 오산리(五山里)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남평(南平)이고, 호는 관재(寬齋)이다. 어려서 한학을 공부하다가 기독교를 믿으면서 신학문에 뜻을 두고 1908년 목포(木浦) 영흥학교(永興學校)에 입학하여 1911년 졸업하였다. 이후 함경북도 갑산(甲山)에서 서양인 선교사의 조수와 미국 광산회사의 통역 등으로 일하다가 영흥학교와 옥구(沃溝) 영명학교(永明學校), 익산 도남학교(道南學校) 등에서 영어와 한문을 가르치며 교직 생활을 하였다.

이리는 1914년 호남선이 개통된 이래 철도 교통을 비롯한 호남지역 육상 교통의 중심지였다. 따라서 1919년 만세운동 당시 전국 각지의 만세시위 소식이 빠르게 전해지고 있었다. 그 결과 이리 읍내에서는 3월 26일 이래로 산발적이지만 격렬한 만세시위운동이 전개되고 있었다. 1919년 당시 전북 옥구(沃溝)에서 교편을 잡고 있던 기간 박도현(朴道賢)·장경춘(張京春) 등 기독교 계통의 인사들과 비밀 회합을 갖고 이리 장날인 4월 4일에 시위운동을 일으키기로 하였다. 같은 영명학교 교사 박연세(朴淵世)를 통해 영명학교 학생들이 인쇄한 독립선언서 1백여 장을 전달받아 시위 준비에 착수하였다.

1919년 4월 4일 기독교인 등 300여 명의 군중이 이리 장터에 모였다. 이 가운데는 서울에서 유학하다가 귀향한 중동학교(中東學校) 학생 김종현(金宗鉉)·김철환(金鐵煥)·이시웅(李時雄)·박영문(朴泳文) 등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날 만세운동에 참여한 군중을 지휘하며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조선 독립의 정당함을 역설하였다. 아울러 모인 군중에게 각종 격문을 나누어 주고 태극기를 휘날리며 시가를 행진하였다. 시위 참여자 수는 점차 늘어나 1천여 명에 이르렀다. 일본 헌병대가 출동해 행진을 제지하려 했으나, 시위대는 이에 굴복하지 않고 이리역 앞 큰길로 계속 행진하였다. 시위대가 더 큰 소리로 독립만세를 외치고, 여러 사람이 곤봉을 들고 계속해서 만세를 부르며 시가를 행진하자 일제 당국은 위협을 느꼈다. 그래서 이리 읍내 소방대원들과 일본인 소유 오하시(大橋)농장의 농장원 수백여 명을 동원하여 창검과 총, 곤봉, 갈고리를 휘두르며 무력으로 시위대를 진압하게 하였다. 하지만 이에 굴하지 않은 시위대는 계속 만세운동을 진행하였고 이에 출동한 일본 군대가 무차별 사격까지 가해 사상자가 속출하였다.

이때 오른손에 태극기를 들고 군중 앞으로 나아가 “여러 지역에서 독립 만세를 열심히 부르면서 조선 민족의 의사를 표현하면 조선이 독립할 수 있다”는 취지의 연설을 하였다. 그러자 일본 헌병이 칼로 오른팔을 내리쳤고 태극기와 함께 오른팔이 절단되어 땅에 떨어졌다. 이에 굴하지 않고 다시 왼손으로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외치며 전진하였는데, 이에 일본 헌병들이 달려들어 그 왼팔마저 베어 버렸다고 한다. 두 팔을 잃어버렸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만세를 외쳤다. 이에 일본 헌병은 그를 계속 구타하고 칼로 난자하였다. 이로 인해 그 자리에서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고태우⋮

|참고문헌|

「판결문」, 대구복심법원, 1919. 5. 22 ; 「판결문」, 고등법원, 1919. 6. 21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3권, 1971 ; 문일민, 『한국독립운동사』, 애국동지원호회, 1956 ; 김승학, 『한국독립사』 하권, 독립문화사, 1965 ; 익산시사편찬위원회, 『익산시사』 중, 익산시, 2001 ; 김진호, 박이규, 박철규, 『국내 3·1운동 Ⅱ- 남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1. 문용기 10폭 병풍
  • 2. 문용기의 솜저고리
  • 3. 문용기 두루마기
  • 4. 문용기 졸업장
  • 5. 문용기 영정
  • 6. 순국열사충혼비[문용기, 박영문, 장경]
  • 문용기_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