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박제선 朴齊璿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박제선
한자명 朴齊璿
본 관 반남(潘南)
이 명 이명 : 박학제(朴學齊), 박선옥(朴旋玉), 박엽(璞曄)
출신지 경북 영주(榮州)
생몰년월일 1878. 7. 13 ~ 1938. 2. 24
운동계열 만주방면
관련 단체  
관련 사건  
주요 활동 1915년 영주 대동상점을 경영하면서 군자금 모집,
포상훈격(연도) 애국장(1990)

1878년 7월 13일 경상북도 영주군(榮州郡) 풍기면(豐基面) 산법리(山法里)에서 아버지 박예수(朴禮壽)와 어머니 김분례(金粉禮)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이명은 박학제(朴學齊) 혹은 박선옥(朴旋玉)이고, 별명은 박엽(璞曄)이다.

1908년 한성사범학교(漢城師範學校)를 졸업하고, 3월 30일 한성사범학교 부속 보통학교(普通學校) 본과 훈도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6월 일본 유학을 위해 사직을 청원하였으며, 같은 해 12월 25일 대한협회(大韓協會)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 당시 한성사범학교 훈도로 근무하면서 학생들에게 강제 병합의 불가함을 주장하다가 경찰의 조사를 받았다. 그 후 일제의 감시를 받다가 1913년 영천공립보통학교(榮川公立普通學校) 훈도, 1917년 풍기공립보통학교(豐基公立普通學校) 훈도로 근무하였다.

1915년 9월 11일 이교덕(李敎悳)·유명수(柳明秀)·권영목(權寧睦)·정응봉(鄭應鳳) 등의 교원, 부호들과 함께 경북 영주군 영주시장에 잡화상 대동상점(大同商店)을 설립하였다. 대동상점은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의 총사령 박상진(朴尙鎭) 등이 만주 지역 독립운동 기지 건설에 필요한 군자금 모집을 목적으로 개설한 전국 100곳의 상업 조직 중 하나였다. 이때 영천공립보통학교 훈도로 근무하면서 대동상점 설립에 참여하였다. 자본금의 대부분은 이교덕이 출자하였으며, 권영목은 토지 80두락, 그리고 유명수는 토지 70두락을 대여하는 형식으로 투자하였다. 표면상으로는 권영목이 경영을 맡았으나, 실제로 주재하는 역할을 하였다.

1917년 8월부터 유명수·김노경(金魯卿)·권영목 등과 함께 만주 이주를 준비하였다. 1917년 8월 이주지 선정을 위해 만주 지방을 시찰한 뒤, 1918년 3월경부터 만주 펑톈(奉天)으로 이거할 준비에 착수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울의 매동공립보통학교(梅洞公立普通學校) 훈도 김노경이 참여하였다. 1917년 12월 26일 이들과 함께 서울 남문여관(南門)旅(館)에서 대한광복회의 총사령 박상진과 협의한 결과, 권영목을 만주로 보내 장래 있을 만주 이주를 준비시키고, 지린독군(吉林督軍) 멍스웬(孟思遠)의 허락을 얻어 군사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려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자금은 대동상점을 처분하여 활용하기로 하였다. 권영목은 만주로 출발하기에 앞서 이교덕을 서울로 불러들였다. 이때 권영목의 지시에 따라 대동상점 금고에 보관되어 있던 현금 700원을 빼내 1918년 1월 10일 권영목과 함께 만주 지린(吉林)으로 갔다.

1918년 3월 영주 주재 일제헌병대에 권영목이 체포되면서 관련자들도 함께 붙잡히면서 이른바 ‘대동상점사건(大同商店事件)’의 전모가 드러났다. 1918년 5월 3일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8월을 받았다. 이에 항소하여 같은 해 6월 17일 대구복심법원에서 금고 6월을 받았다.

출옥 후 이교덕·권영목 등과 함께 중국으로 망명하여 1924년경 베이징(北京)에 거주하였다. 1931년 3월경에는 중국 장쑤성(江蘇省) 선흥현(宣興縣) 산촌황산(山村黃山) 서운사(棲雲寺)에 거주하면서 박용만(朴容萬)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판결문(대구지방법원, 1918. 5. 3) [판형1]

 

⋮권대웅⋮

|참고문헌|

「박제선 제적부」 ; 「판결문」, 대구지방법원, 1918. 5. 3 ; 「판결문」, 대구복심법원, 1918. 6. 17 ; 「형사사건부」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및 소속관서직원록 1912-1917년』 ; 「會員名簿」, 『大韓協會會報』 제9호, 대한협회, 1908 ; 『皇城新聞』, 1908. 5. 22, 6. 5, 1910. 9. 8 ; 경상북도경찰부, 『고등경찰요사』, 1934(안동독립운동기념관 편, 『국역 고등경찰요사』, 안동독립운동기념관 자료총서 3, 2010)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자료집』 11, 1976 ; 권대웅, 『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판결문(대구지방법원, 1918.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