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강진 康晋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강진
한자명 康晋
본 관  
이 명 康弘模(강홍모), 강홍구(康洪九), 이욱(李旭)
출신지 평안북도 창성(昌城)
생몰년월일 1912. 2. 22 ~ 1976. 12. 23
운동계열 중국방면
관련 단체  
관련 사건 한국광복군
주요 활동 한국광복군 제1지대 제2구대 대부로서 초모·선전·첩보 공작 전개
포상훈격(연도) 애족장(1990)

1912년 2월 22일 평안북도 창성(昌城)에서 태어났다. 이명으로 강홍모(康弘模)·강홍구(康洪九)·이욱(李旭)이 있다.

1920년 만주(滿洲)로 이주한 뒤, 1930년 국민부(國民府)의 선발생으로 뽑혀 중국 동북강무당(東北講武堂)에 입교하였다. 동북강무당의 원래 이름은 삼성강무당(三省講武堂)이다. 1907년 동삼성(東三省) 총독 쉬스창(徐世昌)이 각 성에 강무당을 설립하라는 청(淸) 정부(政府) 병부(兵府)의 명령을 받아 설립하였다. 그러다가 1918년 장쭤린(張作霖)이 군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성강무당 자리에 동북강무당을 설립하였다. 이후 봉계(奉系) 군대의 고·중급 군관을 배양하는 요람 역할을 하였다.

동북강무당에 입교한 다음 해 9월 18일 만주사변(滿洲事變)이 일어나자 중국 육군 독립제7여단(獨立第7旅團) 제621단 2영(營)에 견습 위병장교로 파견되어 근무하였다. 일본군과의 교전으로 인해 베이핑(北平)으로 철수한 뒤, 중국 군사위원회 베이핑분회 위성단 제3영에서 중위로 복무하였다.

1937년 중국 이창현(宜昌縣) 보안단(保安團) 교관으로 임명되었다. 1938년 중국 군사위원회 육군 제6전구 사령부로 전직되어 후난성(湖南省) 창사전투(長沙戰鬪)에 참전하였다. 이때 작전참모부에 근무하며 한인 포로 32명을 광복군(光復軍)에 입대시키는 성과를 올렸다.

한국광복군 열병식 [판형4]

1942년 5월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1지대(第一支隊) 제2구대(第二區隊) 대부(隊附)에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0월에는 상위(上尉)로 진급하였다. 1942년 4월 16일 임시정부 국무회의의 결정에 따라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를 한국광복군 제1지대로 개편하였다. 제1지대는 지대본부, 후베이성(湖北省) 라오허커우(老河口)의 제1구대, 저장성(浙江省) 진화현(金華縣)의 제2구대로 편성되었다. 이소민(李蘇民)을 대장으로 하는 제2구대는 중국군과의 긴밀한 협조 체제 하에서 초모·선전·첩보 공작 및 포로 심문·일본군 문서 번역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일본군 점령 지역을 왕래하면서 활발하게 초모 공작을 전개한 결과 일본군에서 광복군 진영으로 한인 병사들을 탈출시키는 성과를 올렸다. 이러한 사실이 중국 각지 신문에 대대적으로 보도되기도 하였다. 1944년 9월경 일본군 소탕 작전으로 제2구대는 본부를 장시성(江西省) 옌산(鉛山)으로 옮겼다.

일본을 상대로 대적 첩보 활동을 하던 중 1942년 왕자오밍(汪兆銘)군에 체포되어 3년간 옥고를 겪다가 1945년 광복이 되자 우후(蕪湖)에서 석방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양지선⋮

|참고문헌|

金承學, 『韓國獨立史』, 獨立文化社, 1965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4권,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5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6권,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5.
  • 광복군이 사용하던 모자와 완장
  • 한국광복군 열병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