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김창옥 金昌沃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김창옥
한자명 金昌沃
본 관 안동(安東)
이 명 김창옥(金昌玉)
출신지 경상북도 안동(安東)
생몰년월일 1878. 3. 16 ~ 1930. 2. 14
운동계열 3.1운동
관련 단체  
관련 사건 안동군 만세시위
주요 활동 1919년 3월 17일 경상북도 안동군 예안면 만세시위 참여
포상훈격(연도) 애족장(1990)

1878년 3월 16일 경상북도 안동군(安東郡) 녹전면(祿轉面) 서삼동(西三洞)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이명은 김창옥(金昌玉)이다. 1919년 당시 농업에 종사하였고, 예안면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안동의 만세운동은 1919년 3월 13일 안동면(安東面)에서 일어난 이상동(李相東)의 1인 시위로부터 시작되었다. 3월 27일 풍남면(豊南面) 하회동(河回洞) 만세시위까지 안동에서는 모두 14회에 걸쳐 10,000여 명이 만세시위에 참가하였고, 3월 17일부터 23일까지가 절정기였다. 이 기간 동안 안동면·예안면(禮安面)·임동면(臨東面)에서는 수천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예안면의 만세시위는 면장과 면서기들이 주도하였다. 3월 11일 예안면장인 신상면(申相冕)의 주도하에 백남학(白南鶴)·신동희(申東熙)·신응두(申應斗)·이광호(李洸鎬)·이남호(李南鎬)·이시교(李時敎)·이중원(李中元)·이호명(李鎬明) 등이 예안면사무소 숙직실에 모여 만세시위를 논의하였다. 이 자리에서 신상면은 3월 12일이 장날이기는 하나 바로 거사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다음 장날인 3월 17일에 거사할 것을 제안하고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다.

 

동시에 예안면의 유림 지도자 조수인(趙修仁)도 만세시위를 준비하였다. 조수인은 김진휘(金鎭暉)·이원영(李源永)·조맹호(趙孟鎬)·조방인(趙邦仁) 등과 의논하여 3월 17일에 만세시위를 일으키기로 결정하였다. 더불어 예안교회(禮安敎會)에서도 3월 17일 만세시위를 준비하였다. 고종 인산에 다녀오면서 독립선언서를 갖고 온 신응한(申應漢)과 장로 민태규(閔泰圭) 및 기독교면려청년회(基督敎勉勵靑年會) 간부 신세균(申世均) 등이 중심이 되어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시위를 준비하였다.

 

3월 17일 예안면의 시위는 오후 3시 30분 수십 명의 군중이 면사무소 뒤편 선성산(宣城山)에 일본인들이 일왕의 즉위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어대전기념비(御大典紀念碑)’를 넘어뜨리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작되었다. 이 만세 소리와 함께 시장 주변의 세 곳에 흩어져 있던 시위대가 일제히 시장을 향해 만세를 부르며 행진하였다. 시위대가 예안주재소로 몰려가자 경찰과 군인이 나와서 시위에 앞장서던 15명을 끌고갔다. 오후 6시 시위대는 주재소 앞에서 구금자의 석방을 요구하였다. 1,500여 명을 넘어선 시위 군중은 주재소를 둘러싸고 돌과 기왓장을 던졌다. 이날 시위대열에 동참하여 만세를 부르고 주재소로 진입하여 순사인 소다(曹田藤吉)에게 구금자의 석방을 요구하며 유리창 등의 기물을 부수고 만세를 부른 죄로 붙잡혔다.

 

1919년 4월 16일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3년을 받고 항소하였으나 그 해 5월 19일 대구복심법원에서 기각되었다. 다시 불복하여 상고하였지만 같은 해 6월 21일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김정인⋮

|참고문헌|

「판결문」, 대구복심법원, 1919. 5. 19 ; 「판결문」, 고등법원, 1919. 6. 21 ; 경상북도경찰부, 『고등경찰요사』, 1934(안동독립운동기념관 편, 『국역 고등경찰요사』, 안동독립운동기념관 자료총서 3, 2010)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3권, 1971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자료집』 5, 1972 ; 경상북도사편찬위원회, 『경상북도사』 (중), 1983 ; 광복회 대구경북연합지부, 『대구경북항일독립운동사』, 1991 ; 김희곤, 『안동의 독립운동사』, 안동시, 1999 ; 김희곤, 『안동 사람들의 항일투쟁』, 지식산업사, 2007 ; 김진호·박이준·박철규, 『국내 3·1운동Ⅱ- 남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경상북도, 『경북독립운동사Ⅲ- 3·1운동』,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