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김정규 金貞奎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김정규
한자명 金貞奎
본 관  
이 명  
출신지 함경남도 함흥(咸興)
생몰년월일 1883. 6. 10 ~ 1960. 9. 14
운동계열 만주방면
관련 단체 동제회
관련 사건 훈춘 지역 만세운동
주요 활동 북간도 동제회를 조직하고 국민회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1919년 3월 13일과 20일 훈춘지역 만세시위운동을 주도
포상훈격(연도) 애족장(1990)

1883년 6월 10일 함경남도 함흥군(咸興郡) 함흥면(咸興面)에서 태어났다. 성장배경과 만주로의 이주 시점 등에 대해서는 파악할 수 없다.

 

북간도 롱징(龍井)에 거주하였는데, 1913년 캐나다 장로회 선교사 박걸(朴傑, A. H. Barker)이 재만 한인사회를 대상으로 선교 활동을 하면서 학교와 교회를 설립할 때 그를 도왔다. 훈춘지회(琿春支會) 설립에 참여하여 기독교를 매개로 한인사회를 결집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간민회(墾民會)의 부속 단체인 길동기독학당(吉東基督學堂) 졸업생을 중심으로 동제회(同濟會)를 조직하고, 동불사(铜佛寺) 지회장으로도 활동하였다.

 

1919년 3월 13일과 3월 20일 훈춘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황병길(黃炳吉) 등과 같이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면서 서문 밖 광장으로 나가 원 모양의 진을 형성하였다. 황병길이 먼저 단상에 서서 연설을 하였고, 노종환(盧宗煥)·최병문(崔秉文)과 함께 뒤를 이어 연설을 하였다. 이후에는 국민회(國民會) 평의원(評義員)으로 활동하였고, 동료들과 무장투쟁을 준비하였다. 그리하여 국내진공대원 1,500명을 선발하고, 그중에서 150명을 뽑아 결사대를 조직하였다.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 회장인 문창범(文昌範)으로부터 “세계 각국의 여론과 동정을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각지에서 민족의 의기(義氣)를 표현하는 시위운동을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시를 받고, 1919년 9월 11일 밤 훈춘 북문 밖 중국인 경영의 사진관에서 고일섭(高日燮)·김한익(金漢益)·이용인(李容仁)·안태국(安泰國) 등과 모여 시위운동 후원자의 파견을 요청하는 한편, 운동의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진력하였다.

 

1925년 8월 8일에는 극동혁명위원회로부터 블라디보스토크 지역의 고려위원으로 임명되었는데, 이후의 행적은 파악되지 않는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김호걸⋮

|참고문헌|

「朝憲機 제663호, 在間島 排日鮮人結社 同濟會에 관한 건」, 1914. 10. 9,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기밀 제240호, 노령연해도 극동혁명위원회의 고려위원회의 소집에 관한 보고」, 1925. 8. 8,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1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金正明 編, 『朝鮮獨立運動』 第2卷, 東京: 原書房, 1967 ; 金正明 編, 『朝鮮獨立運動』 第3卷, 東京: 原書房, 1967 ; 姜德相 編, 『現代史資料』 第26卷 朝鮮 2, 東京: みすず書房, 1967 ;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독립운동사』 제4권, 1968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3권, 1971 ; 강영심 외, 『한국사-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47, 국사편찬위원회,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