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김유철 金裕哲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김유철
한자명 金裕哲
본 관  
이 명 김유철(金有哲), 진국동(陳國棟), 왕세신(王世新), 김유(金維)
출신지 황해도 안악(安岳)
생몰년월일 1911. 3. 21 ~ 2002. 10. 11
운동계열 광복군
관련 단체  
관련 사건  
주요 활동 1924년 상하이 망명 뤄양군관학교 한인특별반 입교 후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10기로 졸업, 쿤밍의 미 제5공군사령부 대적 선전공작대 활동, 주중 미대사관에서 한인공작반으로 정보수집 담당, 임시정부 외무부 총무과장, 광복 후 난징잠편지대 참모로 확군활동
포상훈격(연도) 애국장(1990)

1911년 3월 황해도 안악군安岳郡 용순면龍順面 구장동九長洞에서 김기형金基瀅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명으로 김유철金有哲·진국동陳國棟·왕세신王世新·김유金維 등을 사용하였다. 아버지 김기형은 김현구金鉉九라는 이명을 사용하였던 독립운동가로, 임시의정원 의원·한국노병회·한국독립당 등에서 활동하였던 인물이다.

 

1924년 아버지 김기형을 찾아 일가족이 상하이로 망명하였다. 김기형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연통제 황해도 경무사(警務司)로 활동하다가 1922년 상하이로 망명하여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윤봉길 의거 직후 김구와 장제스의 교섭으로 1934년 2월 설립한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뤄양(洛陽)분교 한인특별반에 입교하였다. 입교하면서 이름을 중국식으로 바꾸어 진국동(陳國棟)이라고 하였다. 그 해 6월 한인특별반 운영을 둘러싸고 김구·이청천(池靑天) 사이에 알력이 일어나 김구가 자신의 계열 학생들을 철수시키자, 안춘생(安椿生)·나태섭(羅泰燮)·고시복(高時福) 등 25명과 함께 난징(南京)으로 돌아왔다.

 

1934년 8월 난징에서 김인(金仁)·노태준(盧泰俊)·안춘생·나태섭·고시복 등과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에 입교하였다. 2년 동안 교육과 훈련을 받고 1936년 6월 제10기생으로 졸업하였다. 졸업 후 중국군 장교가 되어 쑤저우(蘇州)전선에 투입되어, 일본군과 전투를 치렀다.

 

1943년 윈난성(雲南省) 쿤밍(昆明)에 주둔하고 있던 미국 제5공군사령부에서 편성한 대적(對敵) 선전공작대에서 활동하였다. 대적 선전공작대는 한국·미국·중국의 합작으로 편성되었고, 한국인으로는 중국 공군에 복무하고 있던 장성철(張聖哲)·김좌경(金佐卿), 중국 육군에 복무하고 있던 김철군(金鐵軍)·유재원(柳在元), 윈난비행장에 근무하고 있던 염온동(廉溫東) 등이 참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적 선전공작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전개되었다. 하나는 쿤밍방송국을 통하여 한국어와 일본어로 대적방송을 실시하였고, 다른 하나는 한국·일본·월남·버마 등 4개 국어로 전단을 작성하여 적후방에 살포하는 것이었다. 주로 선전공작에서 전단 삽입하는 그림을 고안해 그려 넣는 작업을 하였다. 때로는 김철군·유재원 등과 윈난성 방위군과 함께 중국과 미얀마의 국경지역에 진출하여 최전방에서 대적선전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1944년 겨울부터 충칭에 있는 주중 미국대사관의 한인공작반(Korean Group)에서 활동하였다. 한인공작반은 한국광복군 제2지대장 이범석(李範奭)이 미국의 전략첩보기구인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s)에 미군을 위한 정보수집을 제의하여 설치된 것이다. 안우생(安偶生)·엄도해(嚴道海)·송면수(宋冕秀)·진춘호(陳春浩)·안병무(安炳武)·박영만(朴英晩) 등과 함께, 일본과 한국에서 발행되는 신문·잡지 등의 출판물과 뉴스방송·전보 등을 통해 정보수집과 적문서 번역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1944년 6월에는 임시정부 외무부 총무과장에 임명되어 1945년 3월까지 근무하였다.

 

광복 후 중국에 이주해 있거나 일본군에 있던 한인청년들을 한국광복군으로 편입시키는 확군(擴軍)사업이 추진되자, 난징에서 확군활동을 벌였다. 1945년 10월 난징잠편지대(南京暫編支隊)가 편성되었을 때, 지대장 안춘생(安椿生) 휘하에서 진춘호·신영묵(申榮默)·문응국(文應國) 등과 참모로 활동하였다. 1946년 3월까지 난징에서 활동하다가 상해로 와서, 6월 23일 부산항을 통해 귀국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하였다.

⋮한시준⋮

|참고문헌|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제6권, 1975 ; 안병무, 『七佛寺의 따오기』, 범우사, 1988 ; 국사편찬위원회 편,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6, 2007 ; 한시준, 『한국광복군 연구』, 일조각, 1993 ; 한상도, 『한국독립운동과 중국군관학교』, 문학과지성사, 1994 ; 김광재, 『한국광복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 김유철_profile
  • 김유철 프로필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