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김서종 金書鍾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김서종
한자명 金書鍾
본 관  
이 명 호 : 설도(雪島)
출신지 경상남도 함안(咸安)
생몰년월일 1893. 6. 13 ~ 1943. 8. 27
운동계열 만주방면
관련 단체 대종교
관련 사건 임오교변
주요 활동 1922년 대종교 북일도본사 소속으로 활동, 1934년 대종교 하얼빈 선도회 총무, 경의원 참의, 총본사 전강, 1942년 천전건축주비회 부위원장을 맡아 민족의식을 고취함.
포상훈격(연도) 애국장(1991)

1893년 6월 13일 경상남도 함안군(咸安郡) 칠원면(漆原面) 구성리(龜城里)에서 태어났다. 호는 설도(雪島)이며, 종교는 대종교(大倧敎)이다. 만주로 이주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10년에 함안군 칠원면 구성리의 보흥학교(普興學校, 현 칠원초등학교(漆原初等學校))를 졸업하였고, 이후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 현 고려대학교)에 진학하였다. 한편, 1909년 1월 15일 나철(羅喆)에 의해 단군을 숭배하는 대종교가 창시되자 1915년 보성전문학교 법과를 졸업하던 당시 대종교에 입교하였다. 대종교의 교인은 참교(參敎)·지교(知敎)·상교(尙敎)·정교(正敎)·사교(司敎) 등 5단계의 교질(敎秩)로 구분되는데, 1916년에 참교로 선발되었다.

일제는 1915년 8월 15일 조선총독부령 83호 「포교규칙(布敎規則)」 개정안을 발표하여 신도(神道), 불교, 기독교 이외의 종교를 포교할 경우 조선총독부의 허가를 의무화하였다. 대종교 측은 12월 21일 「포교규칙」에 의거하여 대종교가 한국의 신도에 해당한다는 내용의 신청서를 제출하였으나 조선총독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대종교의 포교가 불법화되자 분개한 나철은 1916년 8월 황해도 구월산(九月山) 삼성사(三聖祠)로 향하여 8월 15일 그곳에서 순국하였다. 이때 동행하여 고인의 유지를 받들었다. 이후 서울의 양원여학교(養源女學校)에서 3년간 교편을 잡았다. 이 학교는 1920년 7월 16일 동덕여자의숙(同德女子義塾, 현 동덕여자고등학교(同德女子高等學校))에 합병되었다. 또한 영남 지역의 동지들과 뜻을 모아 영우저축회(嶺友貯蓄會)를 조직해 활동하였다.

이후 만주로 망명하였다. 1914년 개편된 대종교의 교구 조직인 동도본사(東道本司, 동만주·노령·연해주·함경도), 서도본사(西道本司, 남만주·중국·몽골·평안도), 남도본사(南道本司, 전라도·경상도·강원도·충청도·황해도), 북도본사(北道本司, 북만주·헤이룽장성(黑龍江省)) 등이 교세 확장으로 1922년 3월 5일 교구분리조례(敎區分理條例)를 통해 재편되자 북만주 지역에 해당하는 북일도본사(北一道本司)에 소속되어 활동하였다.

이후 상교로 승진되어 40세인 1934년 만주 빈장성(濱江省) 우창시엔(五常縣)에서 농장을 경영하였고, 만주 헤이룽장성 하얼빈시(哈爾濱市)에서 북만농구공사(北滿農具公司)의 사장으로 취임하여 사업가로 활약하였다. 또한 하얼빈시 안평가(安平街)에서 대종교 하얼빈 선도회(宣道會)를 조직하고 그곳의 총무를 맡으며 대종교 포교에 앞장섰다. 이후 대종교에서 경의원(經議院) 참의(參議), 총본사(總本司) 전강(典講)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942년 10월 3일 단군을 모시는 천전(天殿)을 세우고자 천전건축주비회(天殿建築籌備會)가 결성될 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그해 11월 19일 국내 및 만주 지역의 대종교 간부진이 일제 경찰에 체포되는 임오교변(壬午敎變)이 발생하였다. 일제의 대종교 간부 일제 검속에 따라 교주인 윤세복(尹世復) 등 20여 명과 함께 붙잡혔다. 이후 만주 헤이룽장성 닝안현(寧安縣) 경무과(警務科)로 압송되어 4개월간 악형을 당하였다. 1943년 3월 말경에는 헤이룽장성 무단장(牡丹江) 액하(掖河) 감옥으로 이감되었으며, 이곳에서 8월 27일 사망하였다. 이후 대종교에서 순교십현(殉敎十賢)으로 추존될 때 그의 이름이 포함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196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김대현⋮

|참고문헌|

김승학, 『한국독립사』 하권, 독립문화사, 1970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8권, 1976 ;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민족독립운동사』 2, 1987 ; 동덕여자대학교 박물관 편, 『동덕의 역사와 정신』, 2015 ; 신용하, 「대한(북로)군정서독립군의 연구」,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88 ; 김동환, 「단군을 배경으로 한 독립운동가」, 『仙道文化』 11,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11 ; 허태근, 「대종교 중광 전후 나철의 구국활동과 영향」, 『역사와 경계』 100, 부산경남사학회, 2016.
  • 김서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