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김병규 金秉圭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김병규
한자명 金秉圭
본 관 선산(善山)
이 명 김교환(金敎煥)
출신지 전라남도 함평(咸平)
생몰년월일 1865 ~ 1935. 7. 8
운동계열 의병
관련 단체 김태원 의진
관련 사건
주요 활동 1907년 김태원 의진에 참여하였고, 참모로 활동함
포상훈격(연도) 건국포장(2003)

1865년경 전라남도 함평군(咸平郡) 나산면(羅山面) 송암리(松岩里)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선산(善山)이다. 김교환(金敎煥)이라는 이명이 있다. 1891년 소과(小科)인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여 성균관(成均館)에 입학하였다. 1907년 김태원(金泰元) 의진에서 의병 활동을 하였다.

1907년 한일신협약(정미칠조약)의 후속 조치로 대한제국 군대가 강제해산되자 군인들의 무장봉기를 시작으로 정미의병(丁未義兵)의 항쟁이 전개되었다. 같은 해 10월 기삼연(奇參衍) 주도로 호남 의병의 연합부대인 호남창의맹소(湖南倡義盟所)가 결성되었다. 이때 6촌 동생인 김교환(金敎環)과 함께 호남창의맹소 선봉장 김태원 의진에 가산(家産)을 군자금으로 제공하고 참모(參謀)로 합류하였다. 함평·나주(羅州)·광산(光山) 등지에서 의병을 모집하고 군자금을 모금하는 등의 활동을 벌이다가 함평군 나산면(羅山面) 수상리(水上里) 월현(月峴)에서 일본군에 붙잡혀 고초를 겪고 풀려났다.

1919년 고종(高宗)이 승하하자 마을 산에 망곡단(望哭壇)을 쌓고 북쪽을 향하여 곡을 하였다. 3·1운동이 일어나자 「문대한독립만세(聞大韓獨立萬歲)」라는 시(詩)를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고, 1935년 7월 8일 나산면 송암리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3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노상균⋮

|참고문헌|

이민수·장환수, 『湖南節義錄』, 湖南節義錄刊所, 1964 ; 김병규, 『晩醒齋遺稿』, 간행자미상, 1969 ; 함평군지편찬위원회 편, 『咸平郡誌』, 1969 ; 「진사김병규항일의병행적비進士金秉圭抗日義兵行蹟碑」, 2005.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