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권재호 權載昊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권재호
한자명 權載昊
본 관 안동(安東)
이 명 자 문팔(文八), 이명 권문팔(權文八)
출신지 경북 봉화(奉化)
생몰년월일 1854. 11. 13 ~ 1903. 5. 26
운동계열 의병
관련 단체 안동의진
관련 사건  
주요 활동 1896년 안동의진 중군장으로 참여하여 활동
포상훈격(연도) 애족장(2011)

1844년 11월 13일경 경상북도 봉화군(奉化郡) 춘양면(春陽面) 의양리(宜陽里)에서 아버지 권정도(權精度)와 어머니 의성 김씨(義城金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자는 문팔(文八)이며, 다른 이름으로 권문팔(權文八)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1896년 1월 권세연(權世淵)의 안동의진(安東義陣)에 참여하였다. 1895년 8월 을미사변과 같은 해 12월 단발령을 계기로 전국 각처에서 의병이 일어났다.

1896년 1월 20일 안동의진의 창의장으로 추대된 권세연은 부장 곽종석(郭鍾錫), 중군장 유완(柳碗), 선봉장 김옥서(金玉瑞), 우익장 권용현(權用賢), 좌익장 이운호(李運鎬), 좌부장 이의호(李宜鎬) 등을 주축으로 의병진을 편성하였다. 그러나 1월 26일 안동과 예천의 접경지대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안동의진은 관군에 패하고, 1월 29일 일본군의 진격에 접전조차 못 해보고 와해하고 말았다. 그런데도 권세연은 태백산 구마동(九麻洞)으로 들어가 가산을 내어 의병을 모으고 무기를 구입하는 등 의병진을 수습하여 안동부를 공략함으로써 2월 25일 안동부에 무혈 입성하였다. 같은 해 3월 7일 대장 권세연이 조직을 보다 전투적인 체제로 개편할 때 중군장에 임명되었다. 이때 안동의진의 간부진은 대장 권세연 이하 도총 유난영(柳蘭榮), 부장 김하림(金夏林), 도포장 오선전(吳宣傳) 등이 임명되었다. 이러한 권세연의 지휘부 개편은 안동의진의 내부적인 갈등을 해소하고, 그동안 흔들렸던 분위기를 쇄신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3월 12일 권세연은 의병부대를 개편한 후 돌연 전투에서 패한 책임을 지고 의병장을 사퇴하였다.

1896년 3월 13일 의병장에 취임한 김도화가 3월 14일 지휘부를 개편하고 진용을 정비할 때에도 다시 중군장에 임명되었다. 대장 이하 부장 유난영, 도총 김하림, 선봉장 유시연(柳時淵), 초모장 이충언(李忠彦)·유창식(柳昌植), 아장 최세윤(崔世允), 지휘장 김흥락(金興洛)·유도성(柳道性) 등과 함께 지휘부에 편성되었다. 그리고 안동의진이 3월 26일 예천회맹(醴泉會盟)에서 7읍 연합 의병부대를 결성하고 3월 29일 함창 태봉에 주둔하던 일본군 병참 부대를 공격하였던 태봉(胎峰) 전투를 중군장으로서 지휘하였다. 그러나 태봉 전투에서 일본군의 화력에 밀려 패배하였다. 김도화의 안동의진은 4월 25일 봉정사(鳳停寺)에서 진영을 재정비하였는데, 지휘부에서 그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1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권대웅⋮

|참고문헌|

『處士權公事狀』(작성시기 미상) ; 김희곤·권대웅 편, 『韓末義兵日記』, 국가보훈처, 2003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2집, 1974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1권, 1972 ; 김상기, 『의병전쟁과 의병장』, 경인문화사, 2019.
  • 초기 의병
  • 안동의병이 창의한 봉정사(경북 안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