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강유홍 姜有鴻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강유홍
한자명 姜有鴻
본 관  
이 명 강용련(康用連)
출신지 평안도
생몰년월일 미상 ~ 1932. 5. 4
운동계열 일본방면
관련 단체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관동지구), 재일본조선노동총연맹, 관동자유노조(關東自由勞組)
관련 사건 일본 이와테현 오후나도선 철도공사장 동맹파업
주요 활동 도일 후 재일조선인노동총동맹 및 관동자유노조 등 활동, 1931년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 토건본부 상임위원, 1932년 일본 이와테현 오후나도선 철도공사장 동맹파업 주도
포상훈격(연도) 애족장(2006)

평안도 출신이다. 일본에서 활동할 때는 도쿄(東京)와 이와테현(岩手縣) 게센군(氣仙郡) 야하기촌(矢作村, 현 리쿠젠다카다시 야하기정)에서 살았으며, 다른 이름으로 강용련(康用連)을 사용하였다.

1930년대 초반에는 도쿄에서 토목건축 분야의 자유노동자로 활동하였다. 당시 일본의 경제 사정은 미국발 경제공황으로 스즈키(鈴木)회사와 같은 견실한 기업이 도산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일본 정부와 군부는 만주사변과 중국 침략을 이용하여 이를 타개하려고 하였다. 이 무렵 토목노동자로 활동하면서 계급의식을 형성함과 동시에 민족적 차별을 겪으며 민족의식을 동시에 체득하게 되었다.

일제를 타도하자는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격문 [판형4]

활동 초기에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在日本朝鮮労働総同盟, 이하 재일조선노총), 관동자유노조(關東自由勞組)에서 활동하였다. 일본 노동계의 조직 분화에 따라 활동도 변화하게 되었다. 당시 일본 노동계는 일본공산당과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이하 전협)가 주도하였고, 이 가운데 재일조선노총을 흡수한 전협 토건노동조합이 유명하였다. 토건노조는 한국인 노동자에게 특히 영향력이 있었다. 이 조직의 강동지구(江東地區) 강동교분회(江東橋分會)에 소속되어 활동하였다.

1931년 전협 토건본부(土建本部) 상임위원으로 지방 조직책이 되어, 간토(關東)·호쿠리쿠(北陸)·야마나시(山梨) 지방으로 파견되어 각 지방의 지부를 재건하고 창립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약하였다.

전협의 3대 대표적인 노동쟁의로는 1931년 야마나시현(山梨県) 국도 8호 공사장 쟁의, 1932년 3월 도쿄지하철 쟁의, 그리고 1932년 4~5월 이와테현 오후나도선 철도 공사장의 노동쟁의 등이 있다. 활동이 가장 두드러졌던 쟁의는 오후나도선 철도 공사장 파업이었다.

1932년 4월에는 오후나도선 철도 공사장에서 일하는 한인 노동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김범이(金凡伊)와 함께 파견되었다. 야하기 마을에 있던 작업장의 노동쟁의를 지원하고 동맹파업을 지도하려는 전협 토건노조의 조직적인 전략이었다. 4월 26일에는 김범이를 비롯한 토건노조 지도부와 각 반장(飯場) 및 한인 활동가 60여 명, 일본인 4명이 참가하여 동맹파업준비위원회를 구성하였다. 파업 노동자들의 요구사항은 노동 시간 단축, 임금 인상, 부상 수당, 해고 반대 등이었다. 준비위원회는 4월 28일 업무 중지를 선언하고 현장에서 대회를 열어 동맹파업을 결의하였다. 한인을 중심으로 일인 노동자까지 합세하여 동맹파업을 단행하였다. 당황한 회사 측은 아리타구미(有田組)를 만들어 파업단 조직을 와해하려고 경찰과 소방대까지 동원하여 파업을 진압하였다. 회사 측에서는 5월 2일부터 파업을 진압하기 시작하여 100여 명의 폭력단을 투입하였다.

동맹파업단의 철저한 방비를 지시하고 선두에서 지휘하였다. 파업 6일째 되던 5월 4일 저녁 폭력단은 술을 마신 채 파업단을 습격하였다. 급박한 상황에 파업단은 폭력단을 피하여 흩어졌고, 이때 동지의 집으로 피신하였다. 하지만 폭력단이 쫓아와 몽둥이로 머리를 구타하여 중상을 입었다. 피를 흘리며 또 다른 동지의 집으로 피신하였으나, 폭력단이 끝까지 쫓아와 중상을 입은 상태에서 재차 구타당하였다. 이로인해 결국 그 자리에서 순국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6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김경남⋮

|참고문헌|

「內地裁判所に於て爲された治安維持法違反事件豫審終結決定」, 『思想彙報』 6, 朝鮮總督府 高等法院 檢事局 思想部, 1936.3 ; 「被告人金致廷外七名に對する治安維持法違反被告事件朝鮮共産黨再建運動 豫審終結決定 - 東京刑事地方裁判所檢事局報告」(朴慶植 編, 『在日朝鮮人關係資料集成』 3, 東京 : 三一書房, 1976) ; 「在留朝鮮人運動」(朴慶植 編, 『在日朝鮮人關係資料集成』 2, 東京 : 三一書房, 1975) ; 「特高月報」 1930년 3월분(朴慶植 編, 『在日朝鮮人關係資料集成』 2, 東京 : 三一書房, 1975)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자료집』 3(별집), 1978 ; 金正明 편, 『朝鮮獨立運動』 4, 東京 : 原書房, 1967 ; 강만길·성대경 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 창작과비평사, 1996 ; 近代日本社會運動史人物大事典編纂委員會 편, 『近代日本社會運動史人物大事典』 2, 東京 : 日外アンシェ-ツ, 1997 ; 朴慶植, 『조선인 강제연행의 기록』, 고즈윈, 2008.
  • 일본노동조합 전국협의회 3・1절 기념 격문
  • 러시아혁명15주년니념 동맹파업을 호소하는 전단
  • 일제를 타도하자는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