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권차응 權次應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권차응
한자명 權次應
본 관 안동(安東)
이 명 자 : 명서(明敍), 이명 : 권상창(權相昶), 창씨명 : 복본차응(福本次應)
출신지 경상북도 봉화(奉化)
생몰년월일 1904. 2. 25 ~ 1943. 5. 17
운동계열 국내항일
관련 단체 봉화청년회, 신간회, 봉화청년동맹, 봉화프로운동자동맹, 봉화적색농민조합
관련 사건  
주요 활동 1927년 봉화청년회 가입 후 집행위원으로 활동, 같은 해 8월 신간회 봉화지회(奉化支會)가 설립되자 임시집행부 사찰로 활동, 같은 해 봉화프로운동자동맹 가입, 1928년 봉화청년동맹(奉化靑年同盟) 서무재정부장 및 문화교양부장 등으로 활동, 1932년 5월 봉화군 내 항일운동을 지도할 비밀결사 조직
포상훈격(연도) 애족장(2006)

1904년 2월 25일 경상북도 봉화군(奉化郡) 물야면(物野面) 오록리(梧麓里)에서 권맹연(權孟淵)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명서(明敍)이다. 권상창(權相昶)이라고도 불렸다. 일제 말기의 창씨명은 복본차응(福本次應)으로 알려져 있다. 외조부는 1896년 경북 안동 일대에서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한 권세연(權世淵) 의병부대와 김도화(金道化) 의병부대에 참여하여 도총(都摠)으로 활동한 김하림(金夏林)이다.

본적은 봉화군 내성면(乃城面) 유곡리(酉谷里)이다. 유곡리는 택리지(擇里志)에 나오는 조선 8대 길지(吉地) 혹은 영남(嶺南) 4대 명당(明堂) 중 한 곳으로, 조선 중종 때 충재(冲齋) 권벌(權橃)이 터를 잡은 후 대대로 그의 후손들이 살아온 안동 권씨의 집성촌이다.

봉화적색농민조합 관련자 판결 보도(『매일신보』1933.12.24) [판형3]

1923년 3월 봉화군에 있는 사립 대성학원(大成學院) 을과(乙科)를 수료하였다. 1925년 12월 대성학원 재학생 및 졸업생으로 조직된 우리학우회 총무로 활동하였고, 1926년 3월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27년 봉화청년회(奉化靑年會)에 가입하여, 5월 집행위원에 선출되었다. 8월 27일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이 제휴하여 창립한 민족협동전선인 신간회(新幹會) 봉화지회(奉化支會)가 설립되자, 임시집행부에서 사찰(司察)로 활동하였고 12월 제1회 정기대회에서 서기(書記) 겸 조사연구부(調査硏究部) 상무간사(常務幹事)로 선출되었다. 이 무렵 봉화프로운동자동맹(奉化)프로運動者同盟에도 가입 활동하였다. 1928년 3월 봉화청년동맹(奉化靑年同盟) 제1회 정기대회에서 서무재정부장(庶務財政部長), 5월 제1회 확대집행위원회에서 문화교양부장(文化敎養部長)으로 선출되었다.

신간회가 해소된 후인 1932년 5월 하순, 황윤경(黃潤慶)·권우섭(權宇燮)·김창희(金昶熙) 등과 유곡리 산중에 있는 제궁곡(濟宮谷)에서, 황윤경의 주장에 따라 “일본 제국주의의 지배에서 벗어나 한국 내에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고자 봉화군 내의 좌익운동을 지도할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다. 농민부(農民部)·반제부(反帝部)·청년부(靑年部)·연락부(連絡部) 등 4개 부서를 설치하고, 청년부 책임자로 공산청년회(共産靑年會)를 조직하여 이끌었다.

같은 해 7월 경상북도경찰부에 영주(榮州)와 봉화 두 지역의 적색농민조합과 반제동맹이 발각되어, 관련자 80여 명과 함께 검거되었다. 10개월간 조사를 받은 후 1933년 4월 예심이 종결되어 공판에 회부되었으나, 변호인을 선임하지 않고 재판을 거부하였다. 1933년 12월 22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2년 6개월(미결구류일수 300일 본형산입) 형을 선고받았다.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겪고, 1935년 3월 26일 출옥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6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장원석⋮

|참고문헌|

「판결문」, 대구지방법원, 1933.12.22 ; 「수형인명부」, 국가기록원 ; 「活動」, 『조선일보』 1924.1.22 ; 「奉化靑年同盟 제1회 정기대회」, 『조선일보』 1928.3.15 ; 『매일신보』 1925.8.24 ; 「奉化靑年定總 임원을 개선」, 『매일신보』 1927.5.29 ; 『매일신보』 1927.5.29 ; 「榮州奉化赤農事件 최고 4년 구형」, 『매일신보』 1933.12.17 ; 「榮州奉化赤農事件 최고 3년을 언도」, 『매일신보』 1933.12.24 ; 『시대일보』 1926.1.13 ; 『시대일보』 1926.3.25 ; 「榮州奉化事件 12명 기소」, 『매일신보』 1932.9.30 ; 『중외일보』 1927.5.28 ; 「奉化靑盟 擴大委員會」, 『중외일보』 1928.5.14,「奉靑 定期大會」, 『중외일보』 1929.2.24 ; 「新幹奉化會 設立」, 『동아일보』 1927.8.31 ; 「新幹支會大會 奉化」, 『동아일보』1927.12.17 ; 「奉化靑年同盟 제1회 정기대회」, 『동아일보』 1928.3.15 ; 「농민청년층을 중심으로 80여명 구금취조, 경북 봉화와 영주에 검거선풍」, 『동아일보』 1932.8.2 ; 「奉化榮州秘社事件 明20일 전부 송국」, 『동아일보』 1932.9.20 ; 「4명은 석방, 12명 기소」, 『동아일보』 1932.10.2 ; 「慶北赤農事件 불일간 개정」, 『동아일보』 1933.5.18 ; 「奉化榮州 兩事件 昨日 1회 공판」, 『동아일보』 1933.12.13 ; 「榮奉農組事件 불일간 공판」, 『조선중앙일보』 1933.10.21 ; 「榮州奉化 農民左翼運動 11명 기소 공판에」, 『조선중앙일보』 1933.12.4 ; 「봉화영주적색농조사건 제1회 공판 개정」, 『조선일보』 1933.12.12.
  • 봉화적색농민조합 관련자 판결 보도(『매일신보』1933.12.24)
  • 봉화적색농민조합 관련자 판결 보도(『매일신보』 1933.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