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고여순 高如順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고여순
한자명 高如順
본 관  
이 명  
출신지 평안북도 의주(義州)
생몰년월일 1907 ~ 1946. 6
운동계열 광복군
관련 단체  
관련 사건  
주요 활동 한국청년전지공작대, 광복군 제5지대, 제2지대에서 간부로 활동.
포상훈격(연도) 애족장(1990)

1907년 평안북도 의주(義州)에서 태어났다. 1930년대 중국으로 건너가 사업을 하였으며, 재봉 기술이 좋았다고 한다. 중국어와 일본어에 능통하여 산시성(山西省) 루안(潞安)에 주둔한 일본군 제36사단 내 여단사령부에서 중국어 통역으로 근무하였다. 이때 한국청년전지공작대(韓國靑年戰地工作隊, 전지공작대)의 대원 김천성(金天成)의 설득과 안내로 이도순(李道淳) 등 40여 명과 함께 부대를 탈출하였다. 1940년 6월에 시안(西安)으로 이동해 전지공작대에 들어가 일본 제36사단의 정보를 수집하는 등 일본군 와해 공작에 전념하였다.

1940년 9월 17일 충칭(重慶)에서 광복군이 창설된 뒤, 전지공작대가 1941년 1월 1일 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되자 여기에 속하였다. 지대장 나월환(羅月煥), 간부 이하유(李何有)·박기성(朴基成)·김동수(金東洙)·이재현(李在賢, 李海平, 李在斗) 등과 함께 시안에 근거를 두고 산시성(陝西省), 허난성(河南省), 허베이성(河北省) 일대에서 한국인 청년 및 사병을 모집하는 초모 공작을 전개하였다. 또 일본군의 정보를 수집하고, 후방 교란 작전 등도 수행하였다.

1941년 6월 한국청년훈련반(韓國靑年訓練班, 한청반)을 2기로 수료하였다. 전지공작대가 1940년 시안에 있는 중국 제34집단군 중앙전시간부훈련단 제4단 특과총대학원대 내에 한국청년훈련반을 설치하여 한인 사병을 교육 훈련하여 초급장교로 길러내고 있었는데, 여기에 2기로 수료한 것이다.

1942년 3월 5지대원 사이에 의견 충돌로 지대장 나월환이 암살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로 말미암아 중국군 제34집단군 중앙전시간부훈련단 제4단 군법재판에 회부되어 이재현·이도순 등과 함께 징역 15년 형을 선고받았다. 박동운(朴東雲)은 사형, 이하유·김동수는 무기징역, 김송죽(金松竹)·김용주(金龍珠)는 징역 2년 형을 각각 선고받았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면되었다.

1942년 4월 광복군이 조선의용대를 흡수하여 확대 개편함에 따라 기존 5지대는 신편 제2지대로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광복군 제2지대 제2구대 2분대 소속으로 활동하였다.

광복군 제5지대 창설기념(1941) [판형4]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여성구⋮

|참고문헌|

김승학, 『한국독립사』 하권, 독립문화사, 1965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3권 ; 『임시정부의정원문서』, 국회도서관 ;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독립운동사』 5권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6권 ; 정화암, 『어느 아나키스트의 몸으로 쓴 근세사』, 자유문고, 1992 ; 한시준, 『한국광복군연구』, 일조각, 1993 ; 김광재, 『한국광복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 이재현, 「한국광복군 제2지대의 태항산 적후공작」, 『광복』 제96호, 1991.6 ; 한상도, 「한국 청년을 정예병사로 길러낸 광복군지대장 나월환」, 『이달의 독립운동가』 112호, 2014.
 
  • 광복군 제5지대 창설기념(1941)
  • 나월환
  • 현재 중급인민법원이 들어선 서안 중국전지공작대 본부터(중국 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