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권흥규 權興圭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권흥규
한자명 權興圭
본 관  
이 명  
출신지 충청남도 청양(靑陽)
생몰년월일 1852. 2. 15 ~ 1919. 4. 5
운동계열 3.1운동
관련 단체  
관련 사건 정산면 3.1운동
주요 활동 1919년 4월 5일 청양군 정산면 만세시위에 참여
포상훈격(연도) 애족장(1990)

1852년 2월 15일 충청남도 청양군(靑陽郡) 목면(木面) 안심리(安心里)에서 태어났다. 정산 향교 직원으로 일하던 중 3·1운동을 맞이하였다. 청양 지역의 만세 시위는 다른 지역보다 늦은 4월 3일 운곡면 미량리에서 처음 시도되었다. 그러나 경찰에게 사전에 탐지되어 제지된 탓에 독립 만세를 부르지 못하였다.

청양 만세시위사상자 발생 보도(『매일신보』 1919.4.8) [판형2]

정산면의 만세 시위는 정산면 백곡리의 홍범섭(洪梵燮, 1900~1973)의 주도로 전개되었다. 홍범섭은 3·1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하던 3월 중에 상경하여 독립선언서를 입수하여 귀가하였다. 이어 마을 청장년들인 임의재(任毅宰)·윤석희(尹錫禧)·홍세표(洪世杓)·박상종(朴商鍾)·임창순(任昌淳)·임철재(任哲宰)·김세환(金世煥)·김필현(金弼鉉)·윤구학(尹龜學)·이건호(李建鎬) 등을 자택으로 불러 독립선언서를 보이면서 ‘우리도 망국의 한을 풀게 되었다’라며 서울의 정세를 말하고 함께 독립 만세를 부르자고 제안하였다. 이들은 4월 5일 정산 장날에 만세를 부르기로 결의하고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만세 시위를 준비하였다.

기미의사 권흥규 순열비(충남 청양) [판형3]

홍범섭 등은 4월 5일 오후 3시경 정산 시장 군중에게 태극기를 배부하면서 독립 만세를 외쳤다. 100여 명의 시장 군중이 호응하여 만세를 부르면서 시장 일대를 활보하였다. 이때 만세 소리를 들은 정산헌병주재소의 헌병들이 출동하여 군중에게 해산을 강요하면서 적극적으로 만세를 외치는 인사 30여 명을 체포하여 주재소로 연행하였다. 헌병들의 강제 연행을 지켜보던 군중은 뒤따라 헌병주재소로 이동하여 연행자를 석방할 것을 요구하였다. 군중이 700여 명으로 늘어나고 석방 요구가 점점 격렬하게 되자, 헌병들은 군중을 향하여 2차례 공포탄을 발사하는 위협을 가하면서 해산을 강요하였다.

이때 만세 군중 가운데 선두에 나서서 자신의 앞가슴 옷고름을 풀어 헤치며 헌병들에게 강제로 연행한 인사들의 석방을 요구하였다. 헌병들이 즉시 발포한 총에 가슴을 맞고 현장에서 사망하였다. 그의 순국과 헌병들의 무력을 행사하는 강압적인 위협으로 군중은 흩어져 해산할 수밖에 없었다.

다음 날인 4월 6일 다시 모인 군중은 주재소 뜰에 거적으로 씌워 놓은 그의 시신을 헌병들로부터 인수하여 자택인 목면 안심리로 운구하였다. 권영진(權寧鎭)이 쓴 ‘배일사권공지구(排日士權公之柩)’ 명정(銘旌)과 수많은 만장을 들고서 운구 행렬은 안심리로 가는 길목마다 노제를 지냈다. 지곡리에 이르러서 권영진이 만든 ‘독립 만세’ 깃발과 정일택(鄭一澤)이 만든 태극기를 운구 행렬 군중에게 배포하여 흔들면서 독립 만세를 고창하였다. 목면에 이르는 고개에 배치된 청양 헌병과 공주수비대는 만세를 부르는 운구 행렬에 사격을 가하였다. 최윤안(崔胤安, 姪女)·유행길(柳行吉)·장응렬(張應烈)·윤광원(尹光猿)·김국삼(金國三) 등이 현장에서 사망하였으며, 그의 어린 딸도 중상을 입었다. 이처럼 일제의 무자비한 만행에도 불구하고 운구 행렬은 계속되어 시신은 자택으로 운구되었다. 이어 4월 7일에도 정산 면내에서 횃불 독립 만세 운동이 전개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김진호⋮

|참고문헌|

「대정8년 공제143호 판결문」, 공주지방법원, 1919.5.5 ; 「대정8년 형공제445호 판결문」, 경성복심법원, 1919.6.13 ; 「대정8년 형상제478호 판결문」, 고등법원, 1919.7.26 ; 「수형자명부, 정산면」(정산면사무소) ; 『정산읍지』, 1981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3·1운동사 下』 독립운동사 제3권, 1971 ; 국회도서관, 『한국민족운동사료 - 三·一運動篇 其一』 1, 1977 ; 김진호, 「청양 지역의 3·1운동」, 『충남사론』 제12집, 충남사학회, 2000 ; 김진호·박이준·박철규, 『국내3·1운동 Ⅱ-남부』,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20,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기미의사 권흥규 순열비(충남 청양)
  • 기미의사 권흥규 순열비(충남 청양)
  • 청양 만세시위사상자 발생 보도(『매일신보』 1919.4.8)
  • 정산장터 3·1운동 만세시위지(충남 청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