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글자크기조절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

권태응 權泰應

Profile Image
기본정보
한글명 권태응
한자명 權泰應
본 관 안동(安東)
이 명 자 : 희서(希瑞), 아명 : 응모(應模)
출신지 경북 영덕(盈德)
생몰년월일 1890. 7. 20 ~ 1935. 12. 28
운동계열 3.1운동
관련 단체  
관련 사건 영해면 3·1운동 , 병곡면 3.1운동
주요 활동 1919년 3월 18일 영덕군 영해면과 병곡면 만세시위에 참여
포상훈격(연도) 애족장(1990)

1890년 7월 20일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 병곡면(柄谷面) 송천동(松川洞)에서 태어났다. 자는 희서(希瑞)이고, 아명이 응모(應模)이다. 일찍이 영해향교의 태화원(太和院)에서 여러 해 한학을 수학하여 문장가로 널리 알려졌다.

1919년 3월 12일 평양신학교 입학을 위해 서울까지 갔다가 만세 시위를 목격하고 돌아온 지품면(知品面) 낙평동(洛平洞) 예수교 장로교회 조사(助事) 김세영(金世榮)의 권유에 따라 권태원(權泰源)·정규하(丁奎河)·권영조(權永祚)·남효직(南孝直)·남여명(南汝明)·권상호(權相浩)·박희락(朴羲洛) 등과 함께 영해면 만세 시위를 계획하였다. 그리고 김치운(金致雲)·장성렬(張星烈)·조태헌(趙泰憲)·권정필(權正弼) 등과 함께 태극기와 선전문을 제작하였다.

3월 18일 오후 1시경 권태원·정규하 등이 주도하는 영해면 성내동 영해시장의 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 그는 같은 마을의 권영조·조영한(趙榮漢)·권중엽 등과 함께 정규하의 지시에 따라 만세를 불렀다. 그리고 만세 시위를 벌이는 과정에서 일본인 순사와 조선인 순사보, 그리고 영해공립보통학교 교사 배병렬(裵秉烈) 및 학생들에게 대한 독립 만세를 부르게 하였으며, 영해주재소·영해공립보통학교·영해면사무소·영해우편소 등의 건물과 집기, 각종 서류를 파괴하였다.

3월 18일 오후 2시경에는 병곡면 만세 시위를 주도하였다. 영해면 만세 시위에 이어 정규하·박희락·서삼진(徐三辰)·권영조 등과 함께 약 200명의 시위 군중을 이끌고 병곡면 병곡동에 도착하여 병곡주재소와 병곡면사무소 부근에서 대한 독립 만세를 불렀다. 권영조·조영한·박희락·박작지(朴作之)·김유선·남효모(南孝模) 등과 함께 400~500명의 군중을 지휘하여 병곡주재소·병곡면사무소 등을 공격하여 지붕과 기둥만을 남기고 대부분 파괴하였다. 그러나 평해에서 증원된 헌병 3명과 주재소 순사가 합세하여 총을 겨누며 위협하자 정규하의 지시에 따라 오후 7시경 해산하였다. 영해를 비롯하여 병곡·창수·영덕·지품·남정면 일원에서 전개된 영덕지역의 만세시위는 군경의 무력 진압과 탄압으로 8명이 순국하고 16명이 다쳤다. 그 후 대대적 검속으로 다수가 체포되어 경찰의 심문을 거쳐 모두 204명과 함께 기소되었다.

1919년 6월 5일 소요·공무집행 방해·건조물 손괴·기물 손괴·공문서 훼기·상해·보안법 위반으로 기소되어 1919년 6월 5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2년 형을 선고받았다. 이에 항소하여 그해 9월 30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 6개월을 받자, 다시 상고하였으나 11월 6일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어 형이 확정되었다. 대구감옥에서 옥고를 겪던 중 병보석으로 가출옥하여 치료를 받았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6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권대웅⋮

|참고문헌|

「판결문」, 대구지방법원, 1919.6.5 ; 「판결문」, 대구복심법원, 1919.9.30 ; 「판결문」, 고등법원, 1919.11.6 ; 「수형인명부」, 대구복심법원, 1919.9.30 ; 「형집행원부」 30, 대구복심법원, 1919.9 ; 「형사 사건부」, 대구복심법원, 1919.9.30 ; 『安東權氏副正公派世譜』 三, 1998 ; 김승학, 『한국독립사(하)』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3권, 1975 ; 윤보현, 『경북판 독립운동실록』, 1974 ; 김희곤 외, 『영덕의 독립운동사』, 영덕군, 2003 ; 안동독립운동기념관, 『경북독립운동사 Ⅲ(3·1운동)』, 경상북도, 2013.
  • 병곡주재소 3·1운동 만세시위지(경북 영덕)
  • 판결문(고등법원, 1919.11.6)